한나라당이 6일 원내 제 1당 자리를 차지했다. 열린우리당 의원 23명의 집단 탈당으로 한나라당은 127석, 열린우리당은 110석이 됐다.
2004년 4ㆍ15 총선 직후엔 우리당이 152석, 한나라당 121석이었다가 그간 국회의원 재ㆍ보선에서의 여당 연쇄 패배와 최근 우리당의 탈당 도미노로 1당과 2당이 역전됐다.
한나라당은 민정당 때부터 20여년간 지켜왔던 1당 자리를 2년 10개월 만에 되찾은 셈이다. 또 당장 4ㆍ25 재보궐 선거부터 ‘기호 1번’이 한나라당으로 넘어가게 됐다.
‘소수 여당, 거대 야당’ 구도는 쟁점 법안 처리 및 국회 운영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교섭단체들 간의 치열한 싸움을 예고한다.
벌써부터 우리당 김한길 전 원내대표의 탈당으로 공석이 된 국회 운영위원장 자리를 두고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한나라당은 “우리당 탈당 사태와 교섭단체 추가 구성 등이 마무리 되면 상임위원장 배분과 상임위원 정수 조정을 요구하겠다”고 벼른다.
하지만 우리당은 “운영위원장은 관례적으로 여당 몫”이라며 한나라당 주장을 반박하고 있다.
정부ㆍ여당이 추진 중인 부동산 대책 후속 법안 처리에도 빨간 불이 켜졌다. 6일 탈당한 여당 의원 중에 국회 건교위 소속이 5명이나 되는 데다, 한나라당이 건교위원장 자리를 노리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민간아파트 분양가 상한제와 분양원가 공개 확대 등을 위한 법안 10여 개가 국회에 제출돼 있거나 2월 임시국회 때 제출될 예정이다.
또 여당의 집단 탈당파 의원 중 실용 성향이 많기 때문에 한나라당이 추진하는 사립학교법 재개정이나 정부ㆍ여당이 추진하는 사법개혁안, 개헌안 등의 처리를 둘러싸고도 변수가 많아졌다.
법안 처리 과정에서 3개 원내교섭단체와 소수 정파들간의 합종연횡이 활발해질 전망이다.
한나라당은 1당 수복에도 영 떨떠름한 표정이다. “큰 실리는 없이 실정의 책임만 나누어 질 우려가 있다”(황우여 사무총장)는 것이다.
탈당한 우리당 의원들이 교섭단체를 구성, 정당을 꾸릴 경우 한나라당이 올해 받게 되는 정당 국고보조금이 48억원이나 줄어든다는 현실적 고민도 있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