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등 제3국에 머무르고 있는 탈북자는 5~1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들 가운데에는 보따리장사 같은 생계형 돈벌이를 위한 단순 월경자도 많아 실제 한국행을 추진하는 탈북자는 이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북자는 1995년부터 3년간 북한의 잇따른 자연재해로 굶어죽는 사람이 속출하면서 대거 발생했다. 식량난이 심했던 북중 국경 인근 함경도 주민을 중심으로 두만강, 압록강 상류를 건너 중국으로 넘어온 이른바 ‘생계형 탈북’이 주류였다. 당시에는 최대 20~30만명에 이르는 탈북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북한 내 식량수급상황이 개선되면서 2000년대 이후에는 탈북자 수가 대폭 감소했다.
탈북자들은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으로 넘어온 뒤 옌볜(延邊) 조선족자치주나 동북 3성 일대에 일단 머무르게 된다. 이들 가운데 한국행을 원하는 탈북자는 몽골, 동남아 등으로 다시 국경을 넘어가 한국으로 오거나, 중국 내 대도시로 이동해 외교공관에 진입해 한국행을 요구하고 있다. 공관의 담을 뛰어넘거나 한국 여권을 불법 위조해 중국 공안의 검문을 거쳐 외교공관에 진입하는 식이다. 2000년까지만 해도 탈북자의 한국행이 여의치 않았지만 2001년 이후에는 매년 1,100~1,800여명이 입국하고 있고, 이렇게 해서 한국으로 들어온 탈북자는 9,000여명에 이른다.
이런 과정에서 일부 현지 브로커들의 횡포 때문에 탈북자들이 고초를 겪기도 한다. 이들이 탈북자들로부터 돈을 받고 한국행에 필요한 길 안내, 공관진입시도 지원 등에 나서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에 문제가 된 국군포로ㆍ납북자의 경우는 사정이 다르다. 이들은 국내 가족과 납북자 지원단체가 중국 북한쪽 연락책을 통해 국군포로나 납북자를 수소문하는 방식으로 일단 생사를 확인한다. 이후 남쪽 가족의 확인, 연락작업을 거쳐 이들을 중국으로 데려와 한국 외교공관에 연락하면 한국행이 이뤄지는 방식이다.
탈북지원단체 관계자는 “북한이 지난해 연말부터 탈북자 감시를 강화했고, 중국 공안들도 탈북자 색출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정상원 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