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한 글로벌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2만 달러, 3만 달러 시대를 개척 할 수 있는 열쇠는 무엇일까?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선 당연히 ‘디지털 첨단기술’이 꼽힌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기술 발전은 국가의 흥망을 결정하는 핵심요소”라며 “기업과 정부의 집중적인 투자를 통한 디지털 혁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지금까지 인터넷과 이동통신 등에 치중해 발전해 왔던 기존 디지털 정보통신 산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스스로 자초한 ‘디지털 레드오션’에서 과감히 탈출함으로써 새로운 발전의 기회를 열어야 한다.
이에 한국일보사가 주최하고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이 후원하는 ‘2006 디지털 이노베이션 대상’은 엄정한 심사를 통해 정보기술(IT), 생명기술(BT), 나노기술(NT), 환경기술(ET), 문화기술(CT), 우주항공기술(ST) 등 6T 분야의 기술 발전과 경쟁력강화에 힘쓴 기업에게 주어진다.
전체적으로 세계적인 흐름을 형성할 수 있는 훌륭한 기술이 많았지만 경영난을 타개하기 위한 성급한 상품화에 나선 제품도 적지 않았다. 몇몇 중소 벤처업체의 경우 성공적으로 개발한 기술조차 연구인력이 부족해 제품화를 못하거나, 출시를 해놓고도 마케팅 능력이 떨어져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올해 심사에서는 예년에 비해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소 벤처기업들의 신청이 두드러졌고, 신산업에 비해 IT 산업의 규모가 여전히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작년과 비교하면 신산업 부문에서 미세기술과 환경기술 관련 기업의 참가가 늘어나 미세기술과 환경기술 관련 산업의 발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 심사 결과 역시 각 부문별로 꾸준한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진보적 경영전략으로 시장개척에 나서고 있는 기업들과 세계 시장을 선도할 가능성이 있는 신기술, 신제품이 높은 점수를 받았다.
심사위원단은 국내 신산업 기업들의 제품 기획력이나 기술력은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이나 전 세계적으로 불어 닥친 불황과 경제 위축으로 그 성장세가 주춤하고 있음이 매우 안타깝다고 입을 모았다.
본 심사는 한국일보를 비롯해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중소기업청 등 관계 부처의 기업육성 관련 담당과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술표준원(ATS) 등 국내 기술평가 및 연구개발인증능력을 보유한 기관에서 추천한 인사 등이 맡았다.
심사위원장은 고용인원 500명 미만의 고부가가치 첨단기술을 개발한 업체들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인 미국 상무부의 ‘SBIR’ (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오슬로 매뉴얼’,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이 만든 ‘BSC’(business score card)의 장점을 취합해 국내 실정에 맞게 개발한 심사지표를 활용했다. 이를 토대로 심사위원단은 IT(정보기술), BT(생물기술), NT(미세기술), ET(환경기술) 등 각 분과별로 2차례에 걸쳐 후보기업들을 평가했다.
1차 서류 심사는 기술경쟁력, 제품독창성, 시장전망, 연구개발 능력, 기업현황 및 재무구조, 브랜드 마케팅 전략, 중장기 비전 등 25개 항목에 걸쳐 이뤄졌다. 2차 심사는 정보통신연구진흥원과 기술표준원에서 후보업체들의 프리젠테이션 및 심사위원들의 질의응답으로 진행됐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