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이 새해 화두로 떠오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문제'로 머리를 싸매고 있다. 우리은행이 비정규직 3,0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키로 한 데 이어 금융노조가 올해 공동임금단체협상(공단협)에서 비정규직 전환 문제를 핵심 사안으로 다룰 예정이지만, 각 은행마다 처한 입장이 달라 개별 은행 노사 모두 해법 찾기에 고심하고 있다.
금융노조는 올 3월부터 시작되는 공단협에서 비정규직 문제 해결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협상에 임한다는 방침이며 국민은행 등 단위 노조들도 개별적으로 은행측과 비정규직 문제를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김동만 금융노조위원장은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분리직군제를 도입한 우리은행 방식이 현실적으로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며 우리은행 방식을 표준안으로 삼겠다는 복안이지만, 개별 노조간에는 입장차가 감지되고 있다.
우리은행과 국민은행에 비해 비정규직 비중이 다소 낮은 하나와 신한은행은 우리은행 방식에 부정적이다.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대신 임금을 차별화하는 분리직군제가 직군 차별을 고착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전에 폐지된 여행원 제도의 복사판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신한은행 노조 관계자는 "그 동안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꾸준히 전환해왔다"며 "비정규직을 완전히 없을 수는 없고 비정규직 수를 줄이면서 일반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문턱을 낮추는 방식이 나을 수 있다"고 말했다.
비정규직 비중이 10~20%인 다른 은행과 달리 32%(8,200여명) 수준에 이르는 국민은행도 쉽게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국민은행 노조 관계자는 "비정규직 수가 많아 전체를 전환하기에 부담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시 정규직의 임금 동결 등이 뒤따를 수 있어 그에 따른 반발을 무마하는 것도 쉽지 않은 과제다.
사측은 비정규직 법안 시행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나오면 그에 따라 시행하겠다며 굳이 서두르지 않으려는 분위기다. 시중은행 고위 관계자는 "비정규직 법안의 시행령도 아직 나오지 않은 상태"라며 "대다수 은행들은 비정규직 법안 시행을 봐가면서 보조를 맞추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송용창 기자 hermee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