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6자회담이 곧 다시 열릴 전망이다. 북한 핵실험으로 급변한 환경에서 1년 여 만에 회담을 재개하는 것 자체가 긴장 완화에 도움될 것이다. 북한과 미국을 비롯한 당사국 모두가 불안한 대치를 진정한 협상 국면으로 이끄는 데 힘을 쏟기를 기대하고 당부한다.
이번 회담은 미국이 유화적 제안으로 막힌 물꼬를 튼 점이 특히 뜻 깊다. 미국은 핵 폐기를 조건으로 한국전 종식선언 등 북한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추진할 뜻을 밝혔다. 이런 변화는 미국의 대외정책 전반에 대한 불신이 중간선거 참패로 확인된 데 따른 선택이지만, 우리에게는 더 없이 바람직한 흐름이다.
중요한 것은 먼저 북한이 미국의 변화를 선의로 받아들여 적극적 협상자세를 보이는 것이다. 북한은 미ㆍ중과의 사전협의에서 핵시설 가동중지와 국제사찰 수용, 핵실험장 폐쇄 등 미국의 요구에 난색을 표하며 핵보유국 처우와 금융제재 해제를 앞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핵실험 명분으로 삼은 미국의 압박이 일단 누그러진 이상, 조건 없이 협상에 복귀하는 것이 순리다. 처지를 이해하려는 한국과 중국을 거듭 곤혹스럽게 하는 것은 현명하지 않다.
중국이 핵시설 가동중지와 국제사찰 수용으로 대북 요구를 압축하는 한편 금융제재 해제와 관계정상화를 다룰 별도 회의를 제안한 것은 합리적 중재안이다. 성공한 여러 평화협상과 마찬가지로 북핵 협상도 잡다한 전제조건과 선행조치 등에 집착하지 않고 핵 문제에 집중해 대화를 지속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를 통해 타협과 신뢰를 주고받으며 핵 폐기와 평화체제 구축의 궁극적 목표에 이른다는 자세가 필요하다. 미국측이 지난해 9ㆍ19 공동성명에서 약속한 화해조치를 18개월 안에 상호 이행할 것을 제안했다는 얘기는 이 점에서 고무적이다.
긍정적 조짐에도 불구하고 협상과정은 여전히 험난할 것이다. 이를 지켜보는 우리 사회도 ‘핵폐기가 선결조건’이라는 강파른 목소리를 내는 것은 삼갈 필요가 있다. 그보다는 당사국 모두의 성의 있는 협상 노력을 촉구해야 옳을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