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본보·동아시아硏, 개별 면접 여론조사/차기 대통령 가장 중요한 능력은?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본보·동아시아硏, 개별 면접 여론조사/차기 대통령 가장 중요한 능력은?

입력
2006.12.10 23:50
0 0

‘경제 성장을 이루고, 일자리를 창출할 능력’(36.1%)이 국민이 생각하는 차기 대통령의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꼽혔다. 다음으로 ‘빈부격차 완화와 복지 증진 능력’(27.4%), ‘갈등 해소와 국민통합 능력’(22.4%) 순이었고, ‘정치개혁과 정치적 리더십’과 ‘남북관계 개선과 외교안보 능력’은 각각 11.2%, 2.4%에 그쳤다. 관련기사 5면

이 같은 결과는 한국일보와 동아시아연구원(원장 김병국 고려대 정외과 교수)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1월 22일부터 12월 5일까지 2주간 전국 성인 남녀 1,0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개별 면접 조사에서 나타났다.

대선주자 지지도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27.6%로 1위를 지켰고,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15.7%, 고건 전 국무총리가 12.7%로 조사됐다. 아직 지지 후보를 정하지 않았다는 반응은 31.9%였다.

10월 한국일보와 미디어리서치 전화 조사와 비교할 때 이 전 시장은 0.5% 포인트 떨어진 반면 박 전 대표는 9.9% 포인트, 고 전 총리는 6.5% 포인트 낮아졌다. 이들 빅3의 지지율이 전반적으로 낮아진 것은 무응답이 상대적으로 많게 나타나는 개별 면접조사의 특성 때문으로 분석된다. 10월 미디어리서치 전화 조사에선 무응답층이 13.2%였다.

이어 손학규 전 경기지사 3.7%,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2%,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단 대표 1.9%, 이해찬 전 국무총리 1.3%, 강금실 전 법무부 장관 1.2%,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 0.8%로 집계됐다.

‘2007년 대선에서 어느 당 후보를 찍겠느냐’는 질문엔 한나라당을 꼽은 응답자가 36.6%로 가장 많았고, 고건 전 총리가 추진 중인 신당 7.3%, 민노당이 4.5%였다. 우리당은 4.4%에 불과했다.

노무현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선 82.6%가 부정적으로 평가했고, 긍정적 평가는 15.3%였다. 정당 지지도는 한나라당이 43.2%, 우리당이 14.2%로 양당 격차가 세 배 이상 벌어졌다. 이번 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 수준에 ±3.1% 포인트다.

● 면접조사

여론조사는 면접, 전화, 인터넷ㆍ우편 등을 통해 이뤄진다. 이중 면접조사(Personal Interview)는 시간과 비용이 다른 방법에 비해 많이 드는 반면 심층 질문이 가능해 조사 취지에 부합하는 답변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래서 외교안보 분야를 비롯한 복합적인 정책 현안에 대한 여론을 파악하는 데 주로 활용된다. 조사는 조사원과 응답자가 가택이나 거리에서 직접 만나 문답을 주고 받거나 응답자에게 설문을 작성토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63.5% 경제 대통령 원해

국민들이 열망하는 차기 대통령상은 역시 ‘경제 대통령’이었다.

‘다음 대통령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능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36.1%가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능력이라고 응답했다. 이어 빈부격차 완화와 복지증진 능력(27.4%), 사회갈등 해소와 국민통합 능력(22.4%), 정치개혁과 정치적 리더십 능력(11.2%), 남북관계 개선과 외교안보 능력(2.4%) 순이었다. 빈부격차 완화도 넓게는 경제 문제에 포함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절반이 넘는 응답자(63.5%)가 경제 분야 능력을 최우선 요건으로 꼽은 셈이다.

이 같은 결과는 현 정부가 정치개혁에 치중했으나 체감경기 회복 문제에선 낙제점을 기록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응답자의 이념성향별로 보면 보수층(43.1%)이 진보층(32.9%)이나 중도층(31.2) 보다 경제성장 능력에 더 무게를 뒀다. 최근 대선주자들이 ‘박정희 끌어안기’에 공을 들이는 것도 이런 여론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능력에 대한 염원을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42.2%)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대(39.1%), 20대(30.9%) 순이었다. 반면 30대 응답자들은 빈부격차 완화와 복지증진 능력(33.5%)을 경제성장과 일자리창출 능력(30.0%)보다 더 중시해 주목된다. 지역적으로는 인천(44.3%), 충남(39.4%), 전남(39.8%) 지역 응답자들이 빈부 격차 완화와 복지 증진 능력을 최우선 요건으로 꼽았다.

농ㆍ임ㆍ어업 종사자의 55.6%와 강원지역 응답자의 33.5%는 사회갈등 해소와 국민통합 능력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지적했다.

박석원 기자 spark@hk.co.kr

35% "한나라 후보 찍을 것"

‘내년 대선에서 어느 정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36.6%가 한나라당 후보를 선택했다. 고건 전 총리가 추진 중인 신당의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은 7.3%였다. 반면 열린우리당 후보에게 투표하겠다는 응답은 4.4%에 그쳐 민주노동당 후보라고 대답한 사람(4.5%) 보다도 적었다.

하지만 절반에 가까운 43.4%는 ‘아직 어느 당 후보를 찍을 것인지 정하지 않았다’고 응답해 앞으로 정계개편 방향에 따라 대선후보 지지 정당 분포는 변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별로는 대구ㆍ경북에서 한나라당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이 64.5%로 가장 많았다. 부산ㆍ경남 응답자 중에도 43.6%가 한나라당 후보를 선택했다. ‘고건 신당’은 호남(15.8%)에서 상대적으로 강세였다. 반면 우리당 후보를 찍겠다는 응답은 충청(12.2%)을 제외하고는 전 지역에서 5%를 넘지 못했다. 특히 서울에서는 2.8%만이 우리당 후보를 선택해 한나라당(36%)의 12분의 1, 고건 신당(6.9%)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대선 지지 정당을 아직 정하지 않았다는 사람은 인천ㆍ경기(50.5%) 서울(46.5%) 호남(45.8%) 등에서 많았다. 이 지역은 지난 대선 때 노무현 대통령이 강세를 보인 곳이다. 앞으로 범여권의 정계개편이 어떻게 진행되느냐에 따라 이 지역의 민심은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정당 지지도에서도 열린우리당은 바닥인 것으로 조사됐다. 우리당은 14.2%의 지지를 얻어 한나라당(43.2%)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우리당 지지율은 5ㆍ31 지방선거 직후인 지난 6월 3일 한국일보와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14.7%로 크게 떨어진 뒤 여전히 반전의 기회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연령과 지역별로 보면 우리당의 민심 이반 현상은 더 뚜렷하게 드러난다. 우리당은 전통적 지지층인 20대와 30대에서 각각 14.6%, 16.0%의 지지만을 얻어 한나라당(각각 33.1%, 34.6%)의 절반 수준이었다.

신재연기자 poet333@hk.co.kr

"盧대통령 일 못한다" 82.6

노무현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취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 일을 잘한다’고 긍정 평가한 사람은 15.3%였다. ‘매우 잘한다’는 0.6% 뿐이었고, ‘대체로 잘한다’는 14.7%였다. 또 ‘매우 잘못한다’는 40.1%, ‘대체로 잘못한다’는 42.5%를 기록해 부정적 답변이 82.6%에 이르렀다.

지난 10월 1,2일 한국일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전화조사를 했을 때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가 27.2%였던 것과 비교하면 11.9% 포인트 더 떨어진 셈이다. 대통령 지지율의 대폭 하락은 최근 부동산가격 폭등 사태로 인한 민심 이반과 여권 분열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노 대통령 취임 2년째인 2005년 2월 미디어리서치의 조사 결과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41.5%였다. 하지만 대통령 지지도는 지난해 8월과 10월 조사에서 29%로 내려간 뒤 지난해 12월(31.8%)과 금년 3월(33.2%)에 약간 반등했으나 5ㆍ31 지방선거에서 여당이 참패한 뒤에는 대체로 하락세를 타고 있다.

노 대통령에게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를 보낸 응답자들은 20대(19.9%)와 호남권(27.4%) 생산ㆍ기능ㆍ노무직 종사자(27.1%) 학생(19.3%) 월 100만원 이하 소득자(24.8%) 등이었다. 자신의 이념 성향이 ‘진보’라고 답한 층에서도 지지도(20.7%)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반면 50대(10.3%)와 서울지역(9.6%) 자영업자(12.3%) 월 400만원 이상 소득자(9.8%) 보수층(11.1%) 사이에선 지지도가 바닥을 헤맸다. 노 대통령의 고향인 부산과 울산ㆍ경남 지역에서도 지지율이 14.2%로 낮게 나왔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