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꼭 독창적이어야 하지? 독창적이지 않으면 왜 안 되지?”
예술가의 발언치고는 괴상해 보이는 이 말은 앤디 워홀(1928~1987)이 했다. 그는 1960년대 미국 팝아트의 최고 스타다. 그는 캠벨 수프 깡통, 마릴린 먼로, 미키마우스 같은 흔해 빠진 이미지를 판화로 대량 생산해 떼돈을 벌었다. 자신의 작업실을 ‘공장’이라고 불렀고 주문이 밀릴 때면 10명이 넘는 조수들을 써서 같은 작품을 하루에 80장씩 찍어내기도 했다. “나는 지루한 게 좋다”면서 “기계적인 작업이 좋다, 아니 기계가 되고 싶다”고도 했다. 본래 상업미술가로 출발한 그는 “나는 내 작품을 백화점 진열장에서 화랑으로 옮겼을 뿐”이라고 했다.
그런데 그런 그의 작품은 가격이 천정부지이고, 후배 작가들은 지금도 그의 영향권 안에 있다. 대중적인 이미지를 사용해 때로는 참을 수 없이 가볍게, 때로는 지독히도 시니컬하게 관습이나 통념에 맞서는(혹은 영합하는!) 워홀 식의 작업은 최근 아시아 현대미술에서 ‘네오팝’으로, 중국에서는 ‘정치팝’이라는 변종으로 진화했다. 국내 미술대학에서도 워홀의 수프 깡통을 흉내 내 우유곽을 그리는 학생이 드물지 않다고 한다. 워홀이 왜 그리 대단하지? 그는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런 짓을 했을까?
서울대미술관이 2일 시작한 <앤디 워홀 그래픽 전> 은 유행이 되어버린 팝아트의 원류를 찾아보고,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짚어보는 자리다. 미국 뉴욕시립대학과 대학교류 차원에서 이뤄진 전시로 60여 점의 판화와 드로잉, 워홀과 팝아트 관련 영상물을 선보이고 있다. 상업미술가로 활동하던 시절의 상품 카탈로그나 잡지용 드로잉부터 전성기 시절인 1960년대의 팝아트 작품, 수술의 부작용으로 갑작스럽게 사망하기 전에 남긴 최후의 작품까지 가져왔다. 앤디>
전시작 중 사형 집행용 전기의자를 찍은 실크스크린 연작, 케네디 암살 사건을 당시 사진과 신문기사로 재구성한 <플래시(flash)> 는 워홀 하면 떠오르는 마릴린 먼로, 꽃, 캠벨 깡통의 가벼움과 달리 무겁다. 파스텔 톤 색상으로 처리한 <전기의자> 연작은 같은 이미지를 반복함으로써 끔찍한 죽음의 공포조차 둔감하게 만들고 있다. 사실 죽음은 워홀이 늘 관심을 기울인 주제라고 한다. 마릴린 먼로도, 엘리자베스 테일러도 그가 판화로 찍은 이미지에는 인기스타의 화려함에 짙은 어둠이 겹친다. 전기의자> 플래시(flash)>
워홀의 마지막 작품인 1986년의 <위장(camouflage)> 시리즈는 위장용 군복 패턴을 형광 핑크, 오렌지와 파스텔 톤의 여러 색상으로 찍어낸 것이다. “내 작품에 의미 같은 건 없으니 그냥 표면만 봐달라”고 했던 워홀 자신의 말로 볼 때, <위장> 연작은 워홀 자신에 대한 반어적 증명처럼 보인다. 그가 더 살았더라면, 위장을 벗고 속내까지 드러냈을까. 전시는 내년 2월 10일까지 한다. (02)880-9504 오미환기자 위장> 위장(camouflag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