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청약행렬이 4~5㎞에 이르렀다는 마산시 양덕동의 한 분양현장은 부동산시장의 현주소를 함축적으로 보여 주었다. 돗자리에 이불까지 준비한 채 밤샘 장사진을 이룬 진풍경은 전형적인 수도권의 분양현장 그대로다.
갑자기 늘어난 전입신고, 모델하우스 주변을 점거한 떴다방, 어지럽게 널린 분양권 매매 안내스티커 등 모든 것이 수도권의 분양현장을 방불케 했다. 오죽하면 주민들이 "마산시가 생긴 이래 이런 일은 처음"이라고 했을까.
옛 한일합섬 자리에 들어설 메트로시티 분양현장에는 분양물량(2,127가구)의 20배가 넘는 5만여 명의 청약인파가 몰렸다고 한다. 이런 진풍경의 배경은 이 곳이 투기과열지역이 아니어서 분양권 전매가 가능하기 때문이란다.
전매차익을 노린 이상 열기라 하더라도 수도권 이외 지역에서 나타난 투기광풍은 결코 예사롭게 넘길 일이 아니다. 이 지역뿐 아니라 투기와는 인연이 먼 부산 대구 등 다른 도시의 분양현장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11ㆍ15 부동산종합대책이 나온 지 얼마 안 돼 나타난 지방의 투기광풍은 정부가 아무리 엄한 대책을 내놓아도 부동산시장은 한참 더 앞을 내다보고 움직인다는 사실을 새삼 일깨운다.
서울 25개 구 전체가 주택투기지역으로 지정됐으나 그 효과를 믿는 사람은 거의 없다. '버블 세븐'지역의 예에서 보듯 오히려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예고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국지적 현상이라 할 수 있었던 강남 집값을 잡겠다고 부동산시장 전체를 상대로 벌인 싸움이 투기의 전국화와 정책신뢰 상실이라는 참담한 결과만 빚은 것도 이런 부동산시장의 속성과 무관치 않을 것이다.
오래 전부터 공급초과 현상으로 걱정이 컸던 지방에서까지 벌어진 투기열풍은 부동산거품의 확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부동산거품 붕괴라는 최악의 상황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부동산시장의 속성 상 두더지 때려잡기 식의 대책은 언제나 뒷북치기가 될 수밖에 없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