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입학에 중요한 자료로 쓰이는 과학경진대회의 수상자들이 대리 출품으로 상을 탄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주고 있다. 서울시교육청 연구관이 거액을 받고 학생의 출품작을 대신 만들어 주는가 하면 일부 교사는 지도교사 명의를 빌려주고, 검찰 고위직에 있는 부모까지 범죄 행위에 가담한 흔적이 보인다니 어처구니가 없다.
대학이 특정 분야에 창의적 자질을 갖춘 학생을 우대하는 제도 자체는 바람직하다고 본다. 문제는 가점을 주는 각종 경진대회가 상당수 편법적으로 또는 부실하게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다.
그 동안 이런 폐해가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어 많은 대회가 폐지되거나 구조조정된 바 있으나 여전히 수백 가지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경찰 수사에서 드러난 사례는 몇 건에 불과하지만 상식적으로 볼 때 유사 사례가 많을 것이라는 심증을 지우기 어렵다.
대회를 주관하고 운영하는 주체들의 도덕성에 대해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국가기관이 주관하는 일부 대회를 제외하고는 어차피 민간이 하는 일이어서 국가나 공적 기관이 물리적으로 감시감독을 하는 것은 쉽지도 않거니와 바람직하지도 않다. 이번처럼 비리가 발생해 형사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아니면 관계자들의 상식과 도덕성을 믿는 것 외에 뾰족한 예방책은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특기자 전형 제도를 시행하는 대학의 안목과 능력에 주목하고자 한다. 교육인적자원부와 국립교육평가원 등 정부기관이 특기자 전형에서 일체 손을 뗀 지 오래인 상태에서 민간기관이 보증한 학생의 능력을 수용하느냐 마느냐는 결국 대학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특기자 전형으로 원서를 낸 학생에 대해 면접에서 출품작을 만든 경위와 과정 등을 세밀하게 물어보기만 했더라도 본인이 만든 것인지 여부는 가려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일부에서는 대학들이 특정 대회 수상 여부를 가점으로 인정하는 과정에서 정실이 끼는 경우도 있다고 하니 이런 관행도 차제에 깔끔하게 정리를 해야 하겠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