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 나라를 혼돈에 빠뜨린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조작 사건이 발생한 지 1년이 흘렀다.
‘황우석 사태’는 2005년 11월15일 제럴드 섀튼 미국 피츠버그대 교수의 결별 선언과 MBC PD수첩의 줄기세포 진위의혹 제기, 서울대의 논문조작 규명 등 2개월동안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됐다. 그 후 1년 동안 줄기세포 연구 관계자들은 무엇을 했는지, 우리사회에 남겨진 교훈은 무엇인지 살펴본다.
4월 서울대에서 파면되고 5월 검찰로부터 기소된 황 전 교수는 현재 재판을 받는 한편 다각적인 재기 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논문조작의 첫 제보자 류영준 연구원은 아직 실직 상태다. 줄기세포 사건의 핵심인 두 인물 모두 다시 자리를 잡기 위해 애쓰고 있는 모습이다.
황 전 교수는 한 때 거처로 마련했던 서울 구로디지털단지 사무실을 정리하고 수도권에 실험실을 마련했다. 과거 서울대 수의대 연구원이었던 학생들도 다수 합류했다.
황 전 교수의 정근화 변호사는 “사이언스 논문 취소로 인간 배아줄기세포 연구자격을 박탈당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소송을 제기해 연구를 계속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황 전 교수는 충남 예산 출신의 박병수 스마젠 회장이 이사장인 수암장학재단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황 전 교수는 또 6일 서울행정법원에 “서울대 징계위원회가 잘못된 조사보고서를 토대로 파면 징계를 내렸다”며 파면처분 취소청구 소송을 냈다. 그는 재판에서 사기·횡령 혐의를 계속 부인하고 있다. 자신도 김선종 연구원에게 속았다는 논리로 ‘논문 조작’이 아닌 ‘데이터 과장’을 주장하고 있으며, SK그룹·농협 등에 “연구비를 먼저 요청한 적이 없다”며 검찰진술을 뒤집었다.
반면 미즈메디병원의 수정란 줄기세포를 섞어넣어 업무방해 혐의로 기소된 김선종 연구원은 혐의를 인정, 유죄 판결을 받을 전망이다.
MBC에 난자문제와 진위의혹을 제보한 류영준 연구원 역시 정상적인 생활로 되돌아가지 못했다. 최근 한학수 PD가 쓴 취재일지 <여러분! 이 뉴스를 어떻게 전해드릴까요> 에 따르면 류씨는 과학기술부의 압력에 의해 원자력병원 레지던트 자리를 그만뒀다. 그는 레지던트 과정을 마치고 전문의의 길을 걸을 생각이다. 여러분!>
황 전 교수의 왼팔과 오른팔의 처지는 크게 갈렸다. ‘왼팔’ 이병천 서울대 교수는 징계를 모두 마치고 11월 복직된 반면 강성근 전 교수는 해임돼 복직을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들은 4월 논문 조작에 대한 징계로 각각 정직 2,3개월의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검찰수사 결과 횡령 혐의가 드러나자 서울대는 7월 다시 징계위를 열어 강 전 교수를 해임하고, 이 교수는 추가 정직 3개월 처분을 내렸다.
이 교수가 강 전 교수보다 횡령 액수가 3배 가까이 많은데도(2억9,600만원) 더 가벼운 징계를 받은 것은 스너피 등 복제연구 성과를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그는 “황 전 교수는 스너피 복제와는 무관하다”고 밝혀 황 교수와 단절을 공식화했으며, 스너피(수컷)에 이어 암컷 아프간하운드도 복제했음을 논문에 앞서 언론에 알려 결과적으로 도움을 받았다. 1억1,200만원을 횡령, 해임된 강 전 교수는 교육인적자원부에 소청심사를 청구했다.
한양대 윤현수 교수 역시 정직 3개월 징계를 마치고 복직했다. 윤 교수의 경우 사이언스 논문의 사진중복 등 조작사실이 드러나면서, 사이언스 논문 자체보다 미즈메디연구소 소장 시절 논문이 문제가 됐다.
하지만 한양대는 사이언스 논문 조작에 대해서만 조사를 벌여 공저자들(윤현수 황정혜 박예수 교수)에게 모두 정직 3개월 처분을 내렸다. 한양대 관계자는 “이병천 교수도 해임되지 않았는데 이보다 더 과한 징계를 내릴 수는 없다는 분위기가 작용했다”고 말했다.
PD수첩팀의 협박취재를 폭로하고, 김선종 박종혁 연구원에게 1만 달러씩을 전달한 안규리 서울대 교수는 정직 2개월 후 7월 인사에서 신장내과 분과장으로 발령받아 완전히 복귀했다. 문신용 교수는 서울대 정직 3개월 징계는 마쳤지만 과기부가 지원하는 세포응용연구사업단 단장직에서 물러났다.
김희원 기자 h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