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2차 핵실험 준비 정황이 미 정보 당국에 포착되면서 위기감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북한은 17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에서 “미국의 동향을 주시하며 그에 따라 해당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주장, 추가 실험 가능성을 내비쳤다. 그러나 북한이 실제 행동에 돌입할 가능성이 반반이고, 기술적 측면에서 이미 예상됐던 실험인 만큼 파장은 그리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북한 2차 핵실험 징후 미 정보당국은 정찰위성을 통해 북한 핵실험장이 위치한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인근에서 북한 트럭과 사람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포착했다. 정부 당국자는 17일 “이와 관련된 징후를 (미국측으로부터 입수해) 알고 있으며 한미 정보공유와 비상근무태세를 강화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 동안 북한이 추가 실험 가능성 나설 수밖에 없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고 분석해왔다. 우선 1차 핵실험이 1킬로톤(kt) 이하의 소규모 폭발에 그쳐 진위 논란을 불러일으킨 만큼 북한은 자신의 핵 능력을 다시 한 번 과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 기술적으로도 핵실험은 1차례만 이뤄지지 않는다. 핵탄두 종류별 폭발 능력 검증을 위해 대개 5~6차례의 핵실험이 이뤄지는 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안보 관련 회의 등을 통해 “북한의 추가 실험 가능성을 논리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북한의 행동을 주시 중이다.
추가 실험은 언제 북한은 이날 담화에서 15일 채택된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를 강력 비난했다. 11일 “물리적 대응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한 데 이어 또 다시 추가조치를 불사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특히 북한은 안보리 결의를 ‘미국의 각본에 따른 선전포고’라고 규정하며 “누구든지 유엔 안보리 결의를 들고 우리의 자주권과 생존권을 털끝 만큼이라도 침해하려 든다면 가차없이 무자비한 타격을 가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만약 북한이 추가 실험을 감행한다면 11월7일 미국 중간선거 전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19일 방한하는 콘돌리사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중국 러시아 방문까지 마치고 미국으로 돌아가 더 강화된 대북 압박조치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북한도 미국의 압박을 명분 삼아 추가 실험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시위에 그칠 수도 하지만 확인된 정보 만으로 북한의 2차 핵실험 추진 여부를 확인하기는 어렵다. 정부 당국자는 “미사일과 달리 핵실험 준비는 대부분 지하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바깥에서 움직이는 것만으로 실험 징후를 예단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특히 길주의 경우 한미 정보당국의 집중 감시대상 지역이고, 북한도 이 사실을 잘 알기 때문에 일부러 핵실험을 준비하는 것처럼 꾸몄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게다가 핵실험 임박 징후인 케이블을 설치하거나 시멘트로 갱도를 메우는 것 같은 정황이 없다는 점도 북한의 ‘블러핑’(속임수)일 가능성에 무게를 싣게 한다. 추가 실험 시 국제사회로부터 더욱 고립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북한의 선택폭을 좁히고 있다. 미 정보당국도 이번에 포착된 길주 인근 움직임을 꼭 핵실험 준비로 볼 수만은 없다는 분석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상원 기자 orno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