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프랑스의 한 지역에서 중학생들의 무거운 책가방을 염려해 교과서 내용을 담은 메모리스틱을 나눠줬다고 한다. 언론보도에 따르면 학생들은 교사가 학교 웹사이트에 올려놓은 콘텐츠를 전송받아 메모리 스틱에 저장한 뒤 수업을 받고 숙제를 할 수 있다. 또 교실에는 메모리 스틱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칠판이 도입됐다. 정보기술(IT) 강국이라 자부하는 우리나라보다 먼저 교육현장에 IT기술을 적용한 사례다.
그러나 염려되는 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도 우리나라처럼 대부분의 학생들이 컴퓨터를 가지고 있지만 경제적 여건 등의 이유로 컴퓨터가 없는 소외계층도 분명 존재하기 때문이다. 집에 컴퓨터가 없는 학생은 계속 무거운 책가방을 들고 다녀야 하는 것일까? 아니면 학교에서 컴퓨터를 지원했을까?
이처럼 유비쿼터스에는 돈이 든다.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려면 인터넷이 되는 휴대폰이나 노트북 컴퓨터가 있어야 한다. 또 정보이용료, 데이터이용료 등의 추가 비용도 든다.
이 때문에 저소득층의 정보화 소외문제는 ‘디지털 디바이드’라는 용어로 계속 제기돼 왔다. 디지털 디바이드란 새로운 정보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에 경제적 ·사회적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정통부는 2010년까지 취약계층 정보화수준을 53.3%에서 80%, PC보급율은 63%에서 80%로 향상시킬 예정이다.
유비쿼터스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만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유비쿼터스 관련 정책이 인간중심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지, 소외되는 계층은 없는지, 오히려 우리 생활에 해를 끼치지는 않는지 등을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 한다. 이로써 우리는 모두가 함께 누리는 유비쿼터스 세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통신연구진흥원장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