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선 주자 지지도에선 이명박 전 서울시장이 28.1%를 얻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25.6%)를 오차범위 안에서 앞서 1위를 달렸다. 고건 전 총리는 19.2%의 지지를 얻으며 3강 구도를 형성했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3.2%, 손학규 전 경기지사는 3%,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은 2.3%의 지지를 얻었다.
지난해 10월30일 실시된 본보ㆍ미디어리서치 조사와 비교해 보면 당시 1위에 올랐던 고 전 총리(30.2%à19.2%)의 지지도가 크게 추락했고, 정 전 의장(8.9%à3.2%)의 하락폭도 컸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이 전 시장(24%à28.1%)과 박 전 대표(19.3%à25.6%), 손 전 지사(0.8%à3%)는 상승세를 보였다. 이 전 시장과 박 전 대표, 손 전 지사가 현직 퇴임 이후에도 꾸준한 활동을 펼친 데 비해 고 전 총리와 정 전 의장은 상대적으로 조용한 행보를 보인 결과로 해석된다.
대권 주자 지지도를 지역별로 보면 이 전 시장은 서울(36.9%)과 인천ㆍ경기(33.6%), 강원ㆍ제주(35%)에서 지지세가 강했다. 박 전 대표는 텃밭인 대구ㆍ경북(39.8%)은 물론 부산ㆍ경남(30.2%)과 충청권(31.3%)에서도 높은 지지를 받았다. 고 전 총리는 호남(46.2%)에서 강세를 보였다. 군소 후보들의 경우 정 전 의장은 충청(7.1%), 손 전 지사는 PK(5.6%), 강 전 장관은 강원ㆍ제주(5%)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연령별로는 이 전 시장은 20대(28.4%) 40대(34.5%) 50대(35%)의 지지가 높았고, 박 전 대표는 전 연령층의 고른 지지를 받은 가운데 60세 이상(36.7%)의 지지도가 가장 높았다. 고 전 총리는 30대(23.8%)의 지지를 가장 많이 받은 주자였다.
지지자들의 직업을 분석해보면 빅3 후보간에 뚜렷한 차별성이 드러난다. 박 전 대표는 농림어업 종사자(27.5%)와 주부(30.7%)의 지지가 많았고, 이 전 시장은 자영업(34.8%), 화이트 칼라(30.3%), 학생층(30.4%)으로부터 높은 지지를 받았다. 고 전 총리는 블루칼라(34.3%)가 주요 지지층 이었다. 월평균 소득도 200만원 미만 저소득층에선 박 전 대표의 지지도가 높은데 비해 200만원 이상 고소득층에선 이 전 시장이 강세였다.
‘한나라당의 대통령 후보로 누가 가장 적합하냐’는 질문에도 이 전 시장(43.7%)이 박 전 대표(40.8%)를 오차범위 안에서 앞섰다. 손 전 지사는 7%였다.
하지만 한나라당 지지자만을 상대로 대통령 후보 적합도를 묻자 박 전 대표가 49.7%의 지지를 얻어 이 전 시장(44.1%)을 앞질렀다. 열린우리당 지지자들을 상대로 한나라당 후보 적합도를 물어본 결과 이 전 시장(47.1%)이 박 전 대표(28.4%)를 크게 앞섰다.
지지여부와 관계없이 차기 대통령 당선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이 전 시장이 될 것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0.4%, 박 전 대표 27.2%, 고건 전 총리 16.2%로 나타나 지지도 순위와 같았다. 정 전 의장(2.1%), 손 전 지사(1.5%) 등은 3% 미만이었다.
이동훈 기자 dhlee@hk.co.kr
■ 대선주자 지지도, 다른 언론사 조사와 비교해보면
최근 실시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 주자의 지지도는 대체로 ‘이명박-박근혜-고건’ 순서를 보였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상승세,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약보합세, 고건 전 총리의 하락세로 요약된다. 나머지 주자들의 지지율은 5%미만의 한자리수여서 이들 빅3를 전혀 위협하지 못했다.
빅3 가운데 이 전 시장 지지도는 30%를 넘는 조사결과가 있는 반면 고 전 총리는 10%대로 떨어진 곳도 있었다. 박 전 대표는 대부분 조사에서 이 전 시장을 추격하는 2위였지만, 중앙일보 조사에서는 이 전 시장과 공동 1위에 오르기도 했다.
차기 대선에서 당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주자 역시 이 전 시장이 꼽혔다. 이 전 시장은 한국일보(30.4%), 경향신문(33.7%), 동아일보(27.8%)의 조사에서 모두 1위였다.
손학규, 정동영, 김근태 등 군소 주자에 대한 지지도는 근소한 차이로 엎치락 뒤치락 했다. 손학규 전 경기지사(조선일보, 동아일보, 경향신문)와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한국일보, 중앙일보, SBS)은 2~4%대의 지지를 얻으며 4위 자리를 다퉜다. 김근태 열린우리당 의장은 강금실 전 법무장관이나 권영길 민노당 의원에게 뒤지는 경우도 있었다.
범여권에서 단일 후보를 낸다면, 고 전 총리가 가장 유리할 것으로 조사됐다. 고 전 총리는 범 여권 대통령 후보 적합도에서 42~42.5%(한국일보, 조선일보)의 지지를 얻었다.
신재연 기자 poet333@hk.co.kr
■ "오픈 프라이머리 참여" 64%`
최근 정치권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오픈 프라이머리(개방형 국민경선제)의 도입에 대해선 찬성론이 반대보다 많았다. 차기 대선에서 이 제도가 도입될 경우 여야 모두의 오픈프라이머리에 참여하겠다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대선 후보를 100% 국민경선 방식으로 치르기로 한 열린우리당의 결정에 대해선 52.2%가 찬성한 반면 ‘현행 제도로 충분하다’는 반대 의견은 40%였다. 제도 도입 여부로 논란중인 한나라당의 경우에도 ‘도입해야 한다’(55.6%)는 의견이 반대(37.8%)보다 많았다.
여야 공히 오픈 프라이머리를 도입할 경우 투표참여 의향을 묻는 질문에는 ‘여야 모두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이 62.8%나 됐다. ‘여야 모두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응답은 18.4%였다.
지지 정당별로는 우리당 지지자의 70.3%, 민주당 지지자의 67.6%가 우리당의 제도 도입에 찬성했다. 반면 한나라당 지지자 중에선 50.1%만 한나라당의 도입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가운데 손학규 전 경기지사 지지 층에서 찬성 의견(56.7%)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역별로는 호남권에서 찬성이 70%대(우리당 도입 70.8%, 한나라당 도입 74.5%)였지만, 강원ㆍ제주에선 반대 의견이 다수였다. 연령별로는 우리당의 제도 도입에 대해 30대(57.9%)의 찬성 의견이 많은 반면 한나라당에 대한 기대감은 20대(61.7%)에서 가장 높았다.
오픈 프라이머리가 도입되면 여야 모두의 투표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자 가운데는 지지 정당별ㆍ지역별ㆍ연령별로 큰 편차가 없었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 가장 큰 대선 이슈는 "경제" 74%
문제는 ‘경제’다. 응답자의 73.9%가 ‘경제 회복 및 활성화’를 내년 대선에서 가장 큰 이슈가 될 것으로 꼽았다.
경제 이외 정치적 사회적 문제를 지목한 응답은 매우 적었다. ‘정치 개혁’은 정치권에선 주요 화두지만, 대선에서 큰 이슈가 될 것이라 생각하는 응답자는 5.7% 뿐이었다. 이어 ‘사회 복지’ 5.1%, ‘부패 청산’ 4.6%, ‘남북 및 한미 관계 등 외교안보 현안’ 4.5%의 순이었다. ‘교육 개혁’과 ‘지역주의 청산’을 꼽은 응답자는 각각 2.2%와 1.5%에 그쳤다.
경제를 중시하는 응답자는 특히 40대(79.6%)와 50대(83.2%), 대구ㆍ경북 지역(83.3%), 자영업자(80.7%)와 주부(79%), 한나라당 지지층(79.1%)에서 많이 나왔다. 성별로는 여성(75.9%)이 남성(71.9%)보다 경제를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 매달 301만~400만원을 버는 고소득층(79.7%)이 100만원 이하의 저소득자(73.5%)보다 경제를 많이 선택했다.
‘경제 대통령’을 표방하는 이명박 전 서울시장 지지자 중 경제를 꼽은 사람은 83.3%로,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지지자(74.2%), 고건 전 국무총리 지지자(68.8%)보다 많았다.
생산적 사회복지 실현을 기치로 내건 민노당 지지자 중 정작 사회 복지를 꼽은 사람은 한 명도 없고 경제를 꼽은 사람이 78.1%라는 점도 눈에 띈다.
최문선 기자 moonsun@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