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과 정치는 한 묶음의 영역이다. 달리 말할 것 없이 사람의 교류가 이루어지는 방식만 봐도 그렇다. 몇 달 전 미국 백악관 대변인에 폭스TV 뉴스 앵커였던 토니 스노가 임명된 사례가 그 중 하나다. 우리의 경우 1980년 이후 언론인들의 정계 내지 정권 진출이 '눈부시게' 이루어졌다.
정부직을 제외하더라도 국회의원으로의 변신은 11대 국회를 기점으로 정치 엘리트 충원의 주요 방식 중 하나였다. 그 당시가 정통성과 열등감의 문제를 안고 있던 군사정권의 속성 때문이라고 한다면 현 정권의 경우 이념적 편향성에 따른 것이랄 수 있다.
■ 미국의 경우는 좀 다르다. 상원이나 하원의원으로 나선 순수 언론인 출신은 별로 없다. 미국 정치인의 80% 이상은 법률가와 변호사 출신이고, 20% 정도는 지방의회 경력자나 교수 출신으로 채워진다고 한다.
앨 고어 전 부통령이 20대 시절 고향 테네시 주에서 기자생활을 했던 경력이 있는데, 순수 기자 출신으로 고위직을 거친 유일한 정치인으로 꼽힐 정도다. 이에 비해 언론인, 특히 방송인 중 정부직에 투신하는 사례는 잦은 편이다.
스노 대변인이 그 사례 중 하나다. 문제는 이들이 언론계로 복귀해 정치 논평가나 편집책임자로 변신할 때이다. 미국에서 '회전문 인사'라는 비판은 이를 일컫는 표현이다.
■ 언론과 정치는 윤리적 거리가 분명해야 하고, 또 필요한 대립적 영역이다. 정치가 언론과 다른 가장 큰 요인은 그 곳이 행위의 세계라는 점이다. 현실 정치에서 '최선'이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선이나 삼선, 그것도 아니면 최악이나 면하는 차악(次惡)의 선택도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최선의 공론을 추구하는 언론과 다르다. 언론이 갖는 도덕적 정치적 힘의 원천은 여기서 정치와 달라진다. 그러나 언론이 정치현상과 파장을 일으키는 행위자의 역할을 갖고 있음도 분명하다. 이어 정치와 함께 행동의 영역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도 부인할 수 없다.
■ 언론인 출신의 한 원로 정치인은 "언론인은 곧 정치행위의 유발자"라고 규정한다. 그래서 "언론인은 행동인이자, 정치인과 동격에, 또는 윗줄에 서야 하는 사람들"이라고 지적한다.
노무현 대통령은 얼마 전 언론인과의 자리에서 언론의 정권 비판 강도에 대해 '정치권력화 수준'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반면 그제 여당 초선의원들은 대통령의 실패를 거론하면서 "정책실패를 언론 탓으로 돌리는 분위기가 팽배해 있다"고 진단했다. 언론과 정치를 이심동체(二心同體)쯤이라 할 수 있을까.
조재용 논설위원 jaec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