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 공원 문제가 새삼 논란이 되고 있다. 건설교통부가 최근 입법 예고한 '용산 민족ㆍ역사공원 조성 및 주변 지역 정비에 관한 특별법안'때문이다. 법안의 핵심은 용산 미군 기지 전체를 공원으로 만들지 않고 상당 부분 아파트와 주상복합건물로 개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은 것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우리는 이런 식의'개발'에 반대한다. 서울이라는 거대도시 한복판에 자자손손 100만 평 가까운 번듯한 공원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기회를 망치는 일이다. 법안대로라면 결국 공원은 고층빌딩이 에워싸고 내부 곳곳도 군데군데 건물이 좀먹는 누더기가 될 것은 명약관화하다.
정부는 미군 기지 이전비용 5조~6조원을 조달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하는 모양인데, 이전비용은 현 세대가 일부 세금을 내고 미래 세대도 이용료를 부담한다는 차원에서 국ㆍ공채를 일부 발행하거나, 국가 재산을 서울시민들이 주로 누린다는 점에서 서울시가 일부 보전하는 식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울시 주장대로 캠프킴, 미군수송단, 유엔사 터 등 주변 지역 자투리 개발까지야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핵심인 메인포스트(24만 평)와 사우스포스트(57만 평) 81만 평은 온전히 공원으로 남겨야 한다.
또 하나 우려되는 것은 문제의 법안(6조)이 용산 공원의 성격을 '민족성과 역사ㆍ문화성을 갖춘 기념적 공원, 미래지향적 가치를 제시하는 상징적 공원'으로 규정한 점이다."녹지로 유지하되 전 토지를 지상ㆍ지하의 입체적 개념으로 잘 활용하려 한다.
그저 나무와 숲이 있는 시민공원 수준을 넘는, 역사적 기념물로 동북아 질서를 주도할 어떤 명물이 만들어져야 한다"는 노무현 대통령의 발언(2004년 2월 취임 1주년 언론 대담)이 연상되는데, 열린 공간이어야 할 공원은 그렇게 많은 의미를 담거나 시민을 압도하는 곳이어서는 안 된다.
세계적인 도심 공원들을 보라. 숲과 잔디와 호수와 벤치와 산책로가 전부다. 그 이상 무엇을 짓는 것은 흉물일 뿐이다. 그런 식은 곤란하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