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군 당국이 북한의 핵실험 가능성에 대비해 최근 ‘24시간 밀착감시’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에 대한 핵실험 감시는 1996년 9월 우리나라가 포괄적핵실험금지조약(CTBT)에 가입함에 따라 과학기술부 산하의 지진전문 관측기관인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상시적으로 해왔다. 하지만 지난달 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유엔의 대북 결의안 채택 이후 북한이 현실적으로 핵실험을 강행할 개연성이 높아져 감시 수위를 높인 것으로 보인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헌철 지진연구센터장은 20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도 있고, 북한의 지하 핵실험 가능성 등 예측이 어려운 일이 많아 평소보다 감시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며 “24시간 밀착 감시는 실시간으로 관측소에 포착되는 데이터의 의미가 지진인지, 핵실험인지 여부를 감정할 수 있는 인원을 관측소에 상주시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지 센터장은 “200㎞ 이상 떨어진 지점에서 발파(發破)가 이뤄지면 그 특성이 소멸돼 해독이 쉽지 않다”면서 “파동이 핵실험을 위한 발파인지 분석하기 위해선 여러 사람이 함께 적어도 2~3시간 매달려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에 있지만 실제 북한의 핵실험 감시활동은 강원 원주지진관측소(KSRS)와 경기 김포시, 인천 백령도, 강원 철원군과 고성군 간성읍에 위치한 공중음파관측소가 맡고 있다. 공중음파관측소는 지상의 음파(소리)와 지하의 지진파를 동시에 관측한다.
이와 관련 국방부는 북한의 핵실험 밀착 감시를 위해 입대 전 대학에서 지질학 등을 전공한 병사 6명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파견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관련 분야 전공자를 뽑긴 했지만 관측 업무보다는 보조 역할을 하는 일종의 상황병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병력 파견은 정부 차원에서 결정돼 합동참모본부와 국방부 등을 통해 이뤄졌고, 선발 병력은 11월 초까지 연구원에 머물 예정이다.
고찬유 기자 jutda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