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사행성 성인오락산업의 관리ㆍ운영 실태 감사에 나설 계획이다. 전국적으로 급속하게 번지면서 심각한 폐해를 드러낸 성인오락산업의 실태를 밝히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국민적 의혹이 쏠린 '바다이야기' 허가 과정을 가감 없이 드러내는 것이 급선무라고 본다.
'바다이야기'를 둘러싼 의혹은 유진룡 전 문화관광부 차관의 경질 사태와 맞물려 증폭됐다. 유 전 차관은 "2002년부터 영상물등급위원회에 '바다이야기' 등 사행성이 높은 신종 게임의 위험성을 세 차례나 경고했지만 무시당했다"고 말했다. '바다이야기' 허가 과정에서 영등위와 빚었던 갈등이 자신의 경질과 모종의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인 셈이다.
이에 대해 문화부는 그가 재심의 요청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특정 게임에 대한 것이 아니었고, '바다이야기'가 허가를 받은 2004년 12월 이전의 일이었다고 반박했다. 양측의 얘기에서는 유 전 차관이 '바다이야기'로 대표되는, 사행성 게임의 재심의를 요청했다가 거절 당한 것은 사실임이 드러난다.
그러나 우리의 관심은 어느 쪽의 말이 진실이냐, 또는 유 전 차관의 말이 얼마나 정확한가에 있는 게 아니다. '바다이야기'처럼 사행성이 크고, 당국의 단속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위험한 게임이 어떻게 영등위의 허가를 받았느냐는 데 주된 관심이 쏠린다. 그만큼 '바다이야기'는 흡인력이 컸다.
지난해 등장한 '바다이야기'는 삽시간에 성인오락시장의 80%를 점유했다. 원래 상금은 2배로 한정돼 있지만 간단한 조작만으로 250배로 키울 수 있어 폭발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런 기술적 특성은 애초에 영등위의 심의 수준을 넘어선다.
더욱이 지난해 창업 첫 해에 1,215억원의 매출과 16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올려 화제가 된 제조업체의 주인이 권력핵심부와 이어져 있다는 소문도 무성하다. 감사원이 허가 과정만 제대로 밝히면 이런 의혹은 쉽사리 풀릴 수 있다. 그러지 못한다면 공연히 물타기 의혹만 덧붙이게 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