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유전자(The Selfish Gene), 리처드 도킨스 著
'이기적 유전자'라는 말은 과연 무슨 뜻일까?
진화생물학의 새 지평을 연 이 책의 제목은 사람의 이기적 특성을 결정짓는 유전자가 있다는 뜻이 아니다. 유전자 자체가 이기적이라는 뜻이다. 이기적인 것은 유전자이고, 인간 개개인은 유전자의 목적을 수행하는 '생존기계'일 뿐이다. 인간 개체가 생존경쟁에서 이기기 위해 이런 저런 유전자를 진화시키고 이어받은 것뿐만 아니라 유전자가 자기 복제자를 대대로 유지하기 위해 개체를 이러저러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인간의 의지를 철저히 무시하고 유전자가 모든 것을 결정한다는 식의 이 말에 당혹감을 느낄 이들도 적지 않을 터이다. "특별한 그 누군가를 사랑하고, 인류에 봉사하는 의로운 행동을 하는 것조차 모두 '유전자의 명령'이란 말인가?" 또는 가르쳐주지 않아도 자신을 꼭 빼 닮게 행동하는 아이를 보며 이 메시지가 너무나 당연하다고 여기는 부모가 있을지도 모른다.
이 책에는 때로 복잡한 생물학 연구결과가 등장하지만 핵심적인 메시지는 단순하고 강렬하다. 생물은 이기적이고 이타적인 행동을 함께 보이지만 모두 유전자의 자기복제라는 목적에 봉사한다는 것이다.
저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는 이기성과 이타성의 단위부터 시작한다. 흔히 하나의 생물 개체가 자신을 위한 이기적 행동을 보이는 것은 자명하다. 자기 가족을 지키기 위해 생명을 버리면서까지 침입자에게 침을 쏘는 벌의 행동은 이타적이다. 하지만 벌 집단을 단위로 본다면 벌의 희생 역시 이기적인 행동이다. 결국 이기적으로 자신을 보존하고자 하는 욕구의 단위는 '유전자'이다.
벌과 개미의 예를 들어보자. 일벌은 알을 낳지 않고 번식을 여왕에게 맡긴다. 유전자를 후세에 물려주지도 못하면서 일벌은 왜 평생 여왕을 돌보며 일만 하는 것일까? 개개의 일벌 입장에서는 손해보는 일 같지만 유전자 입장에선 성공 전략이다. 아이 낳기와 키우기를 분업해 효율적으로 번식할 뿐 아니라 일벌들끼리 비슷한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여왕은 결혼비행에서 얻은 정자를 몸 속에 품고, 암컷 즉 일벌을 낳기 위해선 난자와 정자를 수정시킨다. 수벌을 원한다면 미수정란을 낳는다.
때문에 암컷 자매 벌들끼리는 유전적 근친도(같은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가 75%로 통상적인 유성생식의 근친도 50%보다 높다. 암수 벌끼리의 근친도는 25%이다. 일벌의 유전자 입장에서는 유전적으로 가까운 암컷을 여왕벌이 더 많이 낳는 게 유리하다. 실제 생물학자들은 여왕벌이 암수를 낳는 성비가 3대1에 가깝다는 사실을 관찰했다.
도킨스는 인류가 형성한 문화적 관습조차 유전적 근거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우리는 친가보다 외가의 식구들 즉 큰아버지 보다는 이모, 친할아버지 보다는 외할아버지에게 친밀함과 편안함을 느낀다. 그 이유는 자기 핏줄임을 확신할 수 있는 것은 어머니 계통이기 때문이다.
유전자가 의도와 사고가 있는 주체라고 믿지만 않는다면 '이기적 유전자'를 읽고 고개를 끄덕일 수 있는 대목은 무수히 많다.
도킨스는 에드워드 윌슨과 함께 도발적인 글쓰기로 1970년대 유전자의 시각에서 본 진화생물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홍영남 이화여대 교수가 번역했고 지금까지 5만부가 나간 스테디 셀러다. 을유문화사.
김희원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