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이 6월 수도권 학교에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 사고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실패했다. 당국은 6월말 중간발표에서 노로 바이러스를 병원체로 지목했고, 식중독 사고를 일으킨 여러 급식소에 공통적으로 공급된 한 가지 채소도 확인했다.
그러나 이 채소나 그것을 씻는 데 사용한 지하수에서 끝내 노로 바이러스를 찾지 못했다. 2,872명의 피해자가 있는데도 급식업체나 재료 공급업체 어디에도 직접적 책임을 묻기 어렵게 됐다.
당국은 식품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거나 증식하는 데 기술적 장벽이 있는 데다 보존된 음식재료가 부족해서 바이러스 감염경로를 밝힐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흔히 식중독을 일으키는 각종 병원성 대장균 등 세균과 달리 바이러스가 다루기 힘든 존재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사건 발생 초기에 관련 음식재료와 지하수 표본을 충분히 확보하기만 했더라도 감염경로 규명을 가로막은 걸림돌은 많이 없앨 수 있었다. 이 점에서 학교 당국과 관련 업체, 보건당국은 국민적 비난에 겸허하게 고개를 숙이고, 재발 방지를 진정으로 다짐해야 한다.
문제가 된 노로 바이러스는 어지간한 소독에도 견디고, 몇 달씩이나 식품에 숨어 있을 수 있을 정도로 생존력과 적응력이 강하다니 제2, 제3의 집단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런데 식품의 바이러스 오염을 조기에 포착하려면 상당한 생물공학적 기술이 요구된다
. 현실적으로 일부 대형 급식업체를 제외하고는 그런 투자가 쉽지 않다. 6월 사건을 계기로 씨제이푸드시스템이 사업에서 철수함에 따라 학교급식이 개별 학교와 소형 위탁업체에 넘어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것이 우려를 더하고 있다.
그러나 방도가 없는 것은 아니다. 씨제이측은 여러 차례 광고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짐했다. 급식 안전을 위한 투자 기여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 국민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보건당국이 필요한 기자재와 인원을 확충, 음식재료 공급과정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