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파업몸살을 앓는 현대자동차에서는 생산실적이 감소해도 임금은 오르는 기형적 구조가 정착됐으며 경영성과와 연계돼야 할 성과금이 노조의 ‘전리품’으로 변질됐다고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주장했다.
전경련은 6일 내놓은 ‘자동차산업 노사관계의 현실과 과제’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의 경우 최근 5년 사이 4년은 자동차 생산대수 증가율보다 임금인상률이 더 높았고, 특히 2001년과 2003년엔 생산실적이 줄었는데도 임금은 각각 9.4%, 8.6%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생산성과 무관한 임금인상이 지속된 결과 현대차의 1인당 생산대수(2004년 기준)는 31.5대로 임금수준이 비슷한 도요타(58.4대)에 크게 뒤져 있으며, 영업이익은 도요타의 3분의1, 조립생산성은 일본업체의 60% 수준에 불과하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또 현대차의 성과금은 ‘노조가 해마다 쟁취하는 목돈’으로 인식되고 있어, 기업이익이 일정기준을 초과할 경우 표준공식에 따라 지급되는 선진국 업체들의 성과금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는 노조활동에 전념하는 조합간부만 수백명에 이르고 조립산업의 특성상 파업효과가 큰데다 파업으로 인한 임금손실 만회가 가능해, 해마다 파업이 연례화되다시피 하고 있다고 전경련은 밝혔다. 여기엔 1998년 정리해고 이후 회사의 경영사정과 무관하게 ‘받아낼 수 있을 때 받고 보자’는 종업원들의 심리가 작용하고 있다고 전경련은 분석했다.
전경련은 “노조는 단기적 이익추구나 인사ㆍ경영권 침해를 지양해야 한다”며 “회사도 노조의 무리한 요구를 수용하고 파업에 따른 임금손실을 보전해주는 잘못된 관행을 타파해야만 선순환 구조가 정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조철환기자 choc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