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천 영종도에서 열린 모 여름캠프에 참가한 김모(12ㆍ초등6년)군은 물에 빠져 목숨을 잃을 뻔했다. 수영이 미숙한 김 군은 물놀이 도중 튜브에 바람이 빠져 파도에 휩쓸렸다. 다행히 친구가 이를 발견, 인솔 교사에게 알려 위기 상황은 면했지만 김 군은 한 동안 정신을 차리지 못했다. 또 안산 대부도에 생태체험학습을 떠났던 박모(11ㆍ초등5년) 양은 친구들과 장난을 치다 넘어져 다리가 찢어져 10 바늘을 꿰매는 부상을 입었다.
방학때마다 우후죽순 생겨나는 각종 체험 캠프가 안전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다. 전국 바닷가나 계곡에서 열리는 캠프에서는 해마다 인명피해사고가 끊이지 않아 '사고 캠프'라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1일 강화군 화도면 장화리 바닷가 갯벌체험장에서 중고생 4명의 목숨을 앗아갔던 사고는 안전불감증으로 인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 곳은 평소 조류가 거세서 주민들은 근접도 하지않는 곳임에도 안전요원은 물론, 안내 표지만과 경고문조차 찾아볼 수가 없다.
매년 2만~3만명의 학생 등 단체 이용객이 찾아 들고 있지만 관리사무소도 없었다. 실제로 이 일대는 1년에 2, 3차례정도 익사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고 주민들은 전했다. 정부는 5월 무분별한 갯벌체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관리 지침'을 마련했지만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은 것이다.
문화관광부에 따르면 올 여름 성수기인 7, 8 월 두 달 동안 열리는 영어캠프, 생태체험교실, 과학캠프, 환경탐사 등 중ㆍ고생 대상 캠프는 대략 1,500여개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각 종교단체와 사설학원 등이 추진하는 것까지 포함하면 2,000여 개에 이른다.
이들 캠프 운영자나 주관단체는 사업자등록만 하면 누구나 참가자를 모을 수 있다. 게다가 처벌규정도 없어 한번 사고가 나더라도 단체 이름을 바꿔 얼마든지 다시 캠프를 운영하는 게 현실이다.
국제청소년문화협회 캠프나라가 6, 7월 초ㆍ중ㆍ고교생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실시된 16개 캠프에 대해 운영 실태를 조사한 결과, 간호사, 보건관리요원, 전문구급요원 등 안전사고 요원을 갖춘 곳은 10%에 불과했다. 또 안전사고시 환불과 보상을 받을 수 있는 캠프 보험 가입 서류를 제출한 캠프는 전체의 30% 정도에 그쳤다.
국가청소년위원회가 캠프 프로그램을 평가해 인증해주는 청소년수련활동인증제를 우선 실시하고 있지만 업계는 기준이 너무 엄격하다며 반발,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체험캠프가 있지만 대부분 안전사고에 대비한 시설과 안전요원이 없다"면서 "관련법규를 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송원영기자 wysong@hk.co.kr김이삭기자 hi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