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제5대 교육위원 선거에서 전국교직원노조가 퇴조한 것은 전교조 활동 전반에 대한 불신과 비난 여론이 반영된 결과다. 전교조세력의 확장 여부는 선거 전부터 관심의 초점이었다. 그런데 제4대 선거 때보다도 전교조 세력은 더 위축됐다.
전교조 측은 부산지부 교사 통일교재를 빌미로 수구세력이 제기한 색깔론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비합리적 강경투쟁으로 일관한 전교조에 대한 교육계와 학부모들의 걱정은 예상보다 훨씬 깊고 컸다.
전교조는 교원 평가제, 차등성과급제 등 교직사회에 경쟁시스템을 도입하려는 모든 정책은 물론, 소외계층 학생들의 교육기회 확대를 위한 정책들까지도 교단의 불안을 초래한다는 이유로 반대하는 극도의 이기적 모습을 보여왔다.
또 이념적 편향에 대한 비판을 시대착오적 색깔공세로 맞받아치고 있지만, 낡은 이념적 시각에 머무른 채 군사독재 공안시스템의 재준동 운운하는 그들이야말로 지극히 시대착오적이다.
타협을 배제하고 강경투쟁만 고수하는 아집과 독선에 대해 많은 이들이 염증을 느끼고 있다는 것도 그들만 인정치 않고 있다. 선거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국민의 보편적이고도 상식적 의견을 존중해 조직의 좌표와 방향을 숙고하기 바란다.
그렇다고 해서 이번 선거가 보수화의 빌미로 이용되는 것 또한 경계해야 마땅한 일이다. 교육정책은 특정 이념이나 정치에 의해 좌지우지되어서는 안될, 말 그대로 국가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일이다. 전교조에 각별한 자성을 당부하는 것도 교육은 온전히 교육 자체가 목적이어야 함을 전제한 것이지만, 이는 보수적 입장의 교육 관계자들에게도 똑같이 해당되는 말이다.
명색이 '교육계의 국회의원'을 뽑는 선거에서 정치판을 뺨치는 추악한 타락상이 도처에서 빚어진 것도 개탄스러운 일이다. 이런 풍토를 만든 데 대해 교육계 인사들 모두 책임을 통감하고 현재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직선제 전환방안을 포함해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힘을 모아야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