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해역에서 무장단체에 납치됐던 '제628 동원호' 선원들이 무사히 귀국하고 있다니 큰 다행이다. 하지만 이번 일이 이념과 분쟁이 개입된 테러리스트의 인질극이 아니라, '불법어로'를 둘러싼 손해배상 문제로 시작됐다는 점에서 117일 간의 억류는 납득하기 어렵다.
사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정부의 낙관, 고질로 지적되어온 외교부의 안일한 대응, 국민의 아픔을 배려하지 않는 공복(公僕)의식 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피랍 1주일 후 동원수산은 납치단체와 협상을 시작했다고 한다. 드러난 과정을 보면 이후 2,3개월 동안 정부는 동원수산에 맡겨두고 소극적 대응으로 일관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40만~100만 달러의 보상금이 시종일관된 걸림돌이었다.
동원수산이 협상전문가를 고용하는 등 자체 노력 끝에 합의에 이르렀다는 소식은 의구심을 갖기에 충분하다. 피해자 가족들의 정부 불신에서도 짐작이 간다. 그들은 "속이 숯덩이처럼 탔다"고 했으며, 정부의 석방 발표에 "얼굴을 보기 전엔 믿을 수 없다"고 말했다.
1주일 전 피랍선원들의 호소를 전한 언론 보도가 결정적 전기가 되었다고 본다. 당시 "보도가 사건 해결에 지장이 된다"며 자제를 요구하던 정부가 과연 "애당초 해결이 예정돼 있다"고 말할 수 있었는지 묻고 싶다.
설령 납치단체가 '언론 플레이'를 했다면, 그 상황에 이르도록 무엇을 했는가. 사건이 해결된 뒤 "5명의 순환대사를 파견했다"거나 "협상액수 조율이 난항을 겪었다"고 공치사를 할 염치는 없어 보인다.
정부의 노력이 없었을 리 없고, 선원들의 잘못이 없지 않음도 알고 있다. 다만 4개월 가까이 가족들의 속을 숯덩이로 만들 일이 아니었기에 정부의 자국민 보호의지가 박약했다는 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마침 1987년 1월 서해 백령도 근해에서 북한 경비정에 납치됐던 '제27 동진호'의 임국재씨가 정치범수용소에 갇혀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납북 어부들의 문제도 다시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