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보가 24일 참여정부 각료 64명의 출신 지역을 분석한 결과 영ㆍ호남 간의 ‘탕평 인사’ 노력이 엿보이지만 영ㆍ호남 지역 비중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시ㆍ도별 분포를 보면 경남 출신이 9명(14.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전남(8명ㆍ12.5%) 경북ㆍ전북(각 7명ㆍ각 10.9%)) 순으로 많았다. 반면 서울(6명ㆍ9.4%) 충남(5명ㆍ7.8%) 등의 비중은 그리 높지 않았다. 인천ㆍ대전ㆍ울산 광역시 출신은 단 1명도 없었다.
권역별로 분석하면 대구ㆍ경북권(11명)과 부산ㆍ경남권(11명)을 포함한 영남권 출신이 22명(34.4%)으로 가장 많았고, 호남권이 18명(28.1%)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ㆍ경기를 포함한 수도권은 10명(15.6%)에 그쳤고, 충청권 출신도 7명(10.9%)에 불과했다. 강원과 제주 출신은 각각 2명(3.1%), 1명(1.6%)이었고, 이북과 해외 출신도 각각 2명(3.1%)이었다.
이처럼 참여정부에서는 영ㆍ호남권 출신 인사의 비중이 총 62.5%에 달해 역대 최고였던 문민정부(55.0%) 당시보다 7.5% 포인트나 높아졌다.
반면 수도권과 충청권 출신 인사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도권 출신 인사의 경우 5공화국 이후 20%를 훨씬 넘어섰다가 김대중 정부에서 15.7%로 비중이 줄어들었던 경향이 그대로 이어졌다. 충청권 출신의 경우에도 헌정사에서 독특한 상황으로 평가되는 ‘유신 시절’을 제외하고는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DJP 공동정부’로 출범한 김대중 정부에서 충청권 출신이 18.0%에 이르렀던 것에 비하면 무려 7.1% 포인트나 줄었다.
양정대 기자 torch@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