깨달음에 목말라 하는 젊은이가 산길을 힘들게 올라간다. 문득 계곡물을 보니 배춧잎 한 장이 떠내려 온다. “이 절도 틀렸구나” 하는 탄식과 함께 발길을 돌리려는데, 노승 한 분이 허겁지겁 내려온다. 노승은 배춧잎을 건져 산길을 되돌아 간다. 젊은이는 기꺼이 그의 제자가 된다. 오래 전에 읽은 글의 한 대목이다.
문학 동네에서는 시(詩)를 ‘말(言)의 절(寺)’로 풀이하기도 한다. 언어의 사원이라는 의미 부여는 시에 대한 지고의 헌사가 될 것이다. 또한 절의 정신성에 대한 커다란 신뢰가 깔려 있다.
▦ 모든 종교 사원은 고단한 영혼을 의탁하여 위로 받고, 새로운 삶의 에너지를 충전 받는 공간일 것이다. 최근 월간 '불교와 문화’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산중이나 도심의 불교사찰을 찾을 때 가장 기대하는 것으로 ‘정신적 휴식과 여유’가 꼽혔다(53.9%).
절에 대해서는 ‘조용하고 엄숙함’ ‘마음의 안정과 평화’ ‘아름다운 자연환경’ 순으로 긍정적 이미지를 떠올렸다. 그러면서도 사찰 내 휴식공간의 부족을 가장 큰 불편함으로 지적했다. 이어 ‘안내와 설명의 부족’ ‘종무원의 불친절’ ‘화장실의 불편’ 등을 꼽았다.
▦ 비탈길을 숨차게 올라 산사에 닿으면, 막상 다리를 쉬며 땀이라도 들일 곳이 마땅찮다. 그러나 어느 추녀 밑에 엉거주춤 엉덩이를 붙이고 있어도, 풍경 소리는 귀에 정겹고 마음은 마냥 평화롭다.
산사의 말 없는 베풂이 고맙다. 주로 외교관 가족 등 이방인을 위한 템플 스테이도 불교적 넉넉함이 마련해 주는 하룻밤의 정신적 거처다. 비교해 보자면 어느 종교기관이 절만큼이나마 나그네에게 쉴 자리를 베풀고 있는가. 잠시 들어가 마음을 다스릴 수 있는 성소는 얼마나 되던가.
▦ 절이 설문조사를 통해 휴식공간의 부족을 깨닫고 방문객에게 여유 있는 공간을 제공하려는 것은 고마운 배려다. 그러나 또한 절이 풍경 좋은 곳에 위치한 상업 카페처럼 되어서는 안 된다.
자칫 불사를 명분 삼아 시설을 마구 개량화ㆍ현대화해서는 안 된다. 선의에서 출발한 조사결과가 절이 불교적 근본주의에서 벗어나는 기화로 작용될까 걱정된다. 무념무상한 스님의 표정, 검소해 보이는 요사, 그런대로 이용할 만한 해우소 등 지금의 모습이 결코 나쁘지 않다. 지나친 것은 모자람만 못하다.
박래부 수석논설위원 parkr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