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8개국(G8ㆍ서방선진7개국+러시아) 정상회의에서 나타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의 구상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북한 결의문의 잉크도 마르기 전에 대북 제재 언급은 성급하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후진타오 주석은 16, 17일 잇따라 가진 미중, 중러 정상회담을 통해 6자 회담의 조속한 재개가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압박보다는 외교적 해결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두 차례 정상회담 중 후 주석의 진의가 보다 많이 드러난 회담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회담이었다. 이 회담 후 중러 관리들은 “양측이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조율된 노력이 필요하다는 데에 공감했다”고 밝혔다.
후 주석은 안보리 결의안 표결과정에서 형성된 중러 협력을 평가하고, 향후에도 같은 보조를 취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을 것이다. 이는 미일의 추가적인 대북 압박을 견제함으로써 응징적이고도 군사적인 방식의 북한 문제 처리 가능성을 차단하겠다는 의도이다.
특히 중국 언론들은 “두 정상이 한반도에서 안정을 유지하기 위한 관점에서 다양한 이슈들을 다루었다”며 “두 정상은 유연성을 강조하면서 조속한 6자 회담 재개가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고 전했다.
후 주석이 현 시점에서 관련국들에게 ‘유연성’ 발휘를 요구하면서 신중한 자세로 한반도 상황을 관리할 것이라는 메시지를 미일측에 보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중러 정상들은 상황 관리를 위해 양측이 해야 할 일들도 논의했을 것이다.
당분간 냉각기를 가지면서 북한측의 태도 변화를 이끌어내려는 중국으로서는 섣부른 대북 자극을 차단하는데 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 물론 중러 양국도 북한에 대한 일정한 외교적 압박을 가해야 할 당위성은 크게 느낄 수 있다.
문제는 중국이 취할 마땅한 수단이 별로 없다는 점이다. 중국은 한미일이 논의중인 ‘5자회담’ 개최 구상에 선뜻 동조하는 분위기는 아니다. 따라서 중국은 북중간 양자접촉의 밀도를 높여, 북한의 진의를 미국에 전달하는 한편 북한의 요구 수위를 낮추는 물밑 작업을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징=이영섭특파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