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미사일 발사 강행 사태로 한일 관계가 한층 험악해졌다. 특히 지난 주 양국 정부 간에는 '외교전쟁'을 연상케 할 정도로 심각한 비난전이 펼쳐졌다.
●'야단법석'과 '유감'
청와대는 이번 사태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을 '야단법석'이라고 비판했다. 아베 신조(安倍三晋) 관방장관 등이 '적 기지 공격론'의 논의 필요성을 제기하자 '침략주의 성향'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비난을 퍼붓기도 했다.
'야단법석'이라는 지적에 대해 '유감'을 표명한 일본 정부는 급기야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며 분통을 삭였다. 일본 정부와 자민당 내에서는 "한국은 한미일 삼각 동맹에 등을 돌린 배신자"라는 비난도 분출했다.
북한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는 충분히 알 수 있겠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청와대의 표현방식은 양식을 의심케 하는 비외교적인 폭언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 문제이다. 일본 정부의 신속한 대응은 국민들로부터 칭찬 받을 만한 것이었다. 적 기지 공격론이 아무리 난폭한 주장이더라도 청와대가 '침략주의'라는 자극적이고 민감한 표현까지 사용한 것은 지나친 감이 있기 때문이다.
일본의 대응에도 문제가 있었다. 미사일이 발사되자 기다렸다는 듯 북한 제재에 앞장선 일본 정부는 한 발 더 나아가 선제 공격론에 가까운 '적 기지 공격론'을 언급했다.
9월의 자민당 총재 선거를 의식해 제기된 적 기지 공격론은 일본의 현행 헌법과 안보 체제 하에서는 이론적으로만 가능한 논리지만, 한국 등 주변 국가들을 자극하는 폭론(暴論)임이 틀림없다. 결국 미사일 위기를 빌미로 적 기지 공격론을 입에 올린 일본 정부는 이번 사태에 대해 '야단법석', 아니 '과잉대응'을 하고 있음을 스스로 증명한 셈이 됐다.
양국 정부를 양비론으로 몰아붙이며 잘난 척하려는 생각은 절대로 없다. 정말로 말하고 싶은 것은 양국 간의 의사소통에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지난해 6월 서울에서 개최된 한일 정상회담 때 노무현 대통령이 "(회담이 끝나면 고이즈미 총리와) 저녁은 가볍게 먹을 생각"이라고 말하자 일본 사회가 발칵 뒤집힌 것은 웃지 못할 희극이었다. 당시 도쿄의 한국일보 지국에는 "어떻게 일국의 총리에게 그런 대접을 할 수 있느냐"며 '가벼운 식사'의 의미를 묻는 일본 정부 관계자들의 전화가 빗발쳤다.
●서로를 너무 모르는 탓
독도와 야스쿠니(靖國)신사 참배 문제 등으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는 두 나라를 지켜보며 절감하는 것은 생각보다 서로가 서로를 너무 모른다는 것이다. 서로가 모르면서도 아는 척하는 것일 수도, 알면서도 애써 모르는 척 하는 것일 수도 있다는 생각도 한다. 상대방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해 갈등은 언제든지 폭발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첨예한 외교전쟁이 한창인데 한가한 이야기를 꺼냈다고 웃을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정말로 필요한 상대라면, 서로 정확하게 이해하고 소통하는 것이 진짜 국익이 될 수 있다.
김철훈 도쿄특파원 chkim@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