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미사일 사태의 무게중심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북한 결의안 논의로 옮겨졌지만, 적지 않은 시선이 아직도 중국 방북단의 김정일 국방위원장 면담 성사 여부에 쏠리고 있다.
15일 평양을 떠날 '북중 우호조약 체결 45주년 기념' 중국 친선 대표단과 김 위원장간 면담이 성사된다면 14일 늦게 이뤄질 것이라는 게 베이징 소식통들의 관측이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방중 북한대표단의 양형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을 접견한 만큼 김 위원장도 후이량위(回良玉) 중국 부총리와 우다웨이(武大偉) 외교부 부부장을 접견할 가능성이 있다. 장위(姜瑜) 중국 외교부 대변인이 13일 "우다웨이 부부장의 설득작업은 지속되고 있다"며 대북 설득 작업을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나왔을 것이다.
특히 13일 후이 부총리와 우 부부장이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면담하는 자리에 북한 군부 실세 조명록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이 배석한 점은 긍정적인 신호로 읽힌다.
미사일 발사가 '자위'(국방) 차원에서 이뤄졌다고 주장해온 북한의 입장을 감안한다면 미사일 발사의 실무 책임자라 할 수 있는 조 부위원장이 북한의 상세한 입장을 중국에 전달했을 수도 있다.
조 부위원장에 이어 김 위원장이 중국 대표단을 만난다면 좀 더 큰 틀에서 미사일 발사의 배경과 향후 입장을 밝힐 가능성도 있다. 일각에서는 "정책의 방향을 틀 때 김 국방위원장이 직접 나서는 북한 체제의 특성을 감안할 때 김 위원장이 6자 회담 복귀, 미사일 발사 유예 등 미국의 요구 사항에 일일이 답하며 새 전기를 마련할지도 모른다"고 전망했다. 막판 상황반전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김 위원장 면담에서도 뾰족한 탈출구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견해도 적지않다. 북한의 완고한 태도로 중국이 안보리에 북한 결의안을 제출할 수 밖에 없었던 점 등을 감안하면 북한의 태도 변화는 쉽게 상정하기 어렵다. 남북 장관급 회담 결렬 등 주변 상황도 북한이 벼랑 끝에서 쉽게 물러서지 않을 것임을 시사한다.
베이징=이영섭 특파원 young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