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미사일 위기와 관련해 한일간 갈등이 고조되면서 미국의 입장이 곤혹스러워지고 있다.
미국은 국제사회가 북한의 미사일 시험발사 강행에 대해 ‘한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일본이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론을 들고 나오고 한국이 이에 대해 강력 반발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이 같은 ‘한 목소리’외교는 이미 어려워진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11일 일본 핵심 각료들이 대북 선제공격론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국내정치용이라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관방장관을 비롯한 핵심각료들이 잇따라 내놓고 있는 대북 강경발언의 목표는 북한에 대한 경고가 아니라 국내 여론의 지지를 얻기 위한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 신문은 특히 차기 총리를 노리고 있는 아베 장관이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에 편승, 대북 강경발언을 통해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의 뒤를 이을 강력한 지도자란 이미지 구축을 노리고 있다고 전했다.
미측은 그러나 한국이 일본의 강경 대응을 문제 삼아 정부 차원에서 본격적인 문제제기를 하고 나선 상황에 대해서도 ‘우려한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특히 노무현 대통령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그 동안 침묵을 지키고 있다가 일본의 과잉대응이 문제가 되자 즉각 반응을 보인 것은 한미일 3각 공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미국의 일부 전문가들은 일본의 과민반응에 대한 한국의 대응도 국내정치용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숀 매코맥 미 국무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강력한 북한 제재를 요구하는 일본과 이러한 방법이 건설적이지 못하다고 비판하는 한국 사이에 견해차는 있지만 결국 공통의 해법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매코맥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6자 회담 당사국들은 북한이 대량살상무기를 계속 개발해 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할 능력을 완성시키는 것을 보고 싶어 하지 않는다”면서 “한국과 일본 사이에 견해 차이가 지금 있거나, 앞으로 발생하더라도 그 간격을 메울 것이며 공통의 위협에 대한 공통의 해법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고태성 특파원 tsg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