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의 트레이드 마크나 다름없는 기간당원제가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기간당원제 폐해에 대한 비판이 고조되던 차에 당헌ㆍ당규 개정 권한을 쥔 비대위 체제 출범을 계기로 전면개편 목소리가 나오는 것이다.
기간당원제는 우리당이 창당 당시 ‘당원이 주인 되는 정당’을 만들겠다며 도입했다. 일반당원과 달리 당 지도부와 공직선거 후보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갖고 있고 당직소환권도 있다. 자격요건도 까다로워 매달 2,000원 이상 당비를 내야 하고 1년에 한 번 이상 연수도 받아야 한다.
하지만 2년 넘게 운영해본 결과 예상과 달리 부정적 폐해가 속출했다는 게 당의 전반적 인식이다. 국회의원 등 각종 공직선거에 나서려는 인사들이 당내경선에서 이기기 위해 사실상 당비를 대납해주고 무더기로 기간당원을 모집하는 이른바 ‘종이 당원’논란이 대표적이다.
그 결과 “본선경쟁력이 뛰어난 사람이 아니라 더 많은 지지자를 기간당원으로 가입시킨 사람이 경선에서 승리해 공천을 따는”부작용이 빈번했다는 것이다. 지난 2월 발생한 당비대납 사건은 대표적인 사례다. 김근태 의장조차 23일 “이번 지방선거에서 경선을 치른 지역의 기간당원은 솔직히 공천 희망자들이 모은 모집당원이 대부분이었다”고 털어놓았다.
이는 실제 기간당원 수의 변화를 봐도 드러난다. 지방선거 후보자를 뽑는 당내 경선에 참여할 자격이 주어진 지난해 8월의 경우 우리당 기간당원은 무려 55만명으로 급증했다. 하지만 정작 가장 중요한 지방선거를 치른 지난달에는 불과 25만명에 불과했다. 올 2~3월 있었던 지방선거 당내 경선이 끝나기가 무섭게 30만명 이상이 빠져나간 것이다.
당과 국민을 연결해야 할 기간당원이 권력화해 오히려 당을 국민으로부터 괴리시킨다는 비판도 많다. 윤원호 비대위원은 25일 “일부 기간당원의 독선은 횡포에 가깝다”며 “우리당을 도우려던 자발적 지지자들이 놀라서 돌아갈 정도”라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간당원제를 고수하려는 개혁진영 특히 참여정치실천연대(참정연)와 전면개편을 요구하는 실용진영간 당내 갈등도 심각했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22일 1차 토론회를 가진 데 이어 구체적 개편안을 내놓을 방침이다. 한 비대위원은 “15명의 비대위원 모두 기간당원제를 개선ㆍ보완하자는데 동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참정연 역시 24~25일 워크숍을 갖고 소극적이나마 개편 움직임에 동조했다.
현재까지 개편의 방향은 ‘기간당원 요건 강화와 권한 축소’쪽이다. 기간당원 당비를 월 1만원으로 올려 정예화하되, 권한은 오히려 일반당원에 대거 이양하자는 것이다.
정녹용기자 ltrees@hk.co.kr박석원기자 spar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