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건설 인수를 위한 입찰가격이 인수 후보들간의 출혈경쟁으로 당초 예상보다 5,000억~1조원이 높은 6조원 안팎으로 알려지면서 대우건설과 인수업체의 동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인수업체가 과도한 차입금등으로 계열사로 편입할 경우 대우건설의 재매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건설 인수 후보 가운데 금호컨소시엄이 본입찰에서 제시한 입찰가는 72.1% 지분 인수를 전제로 6조5,000억원으로 주당 인수가는 2만6,000원선으로 알려졌다.
두산컨소시엄은 6조4,000억원, 프라임컨소시엄은 6조1,000억원, 유진컨소시엄은 5조9,000억원을 각각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가격은 전문가들이 예상한 대우건설 입찰 예상가 5조~5조5,000억원 보다 5,000억~1조원이나 많은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6조원대의 인수가격은 과열경쟁이 낳은, 상식적으로 납득할 수 없는 금액"이라며 "예상 수준을 훨씬 뛰어넘는 고가 입찰은 천문학적인 차입금을 낳을 수 있고 결국 대우건설과 인수업체의 동반 부실이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금호아시아나, 두산, 유진, 프라임 등은 자회사나 주식 매각 등으로 조달한 자체 자금에다 전략적 투자자(SI) 자금을 합해도 1조~2조원 밖에 안된다. 나머지는 금융기관 등 재무적 투자자(FI)와 외부 차입을 통해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매각 대금 6조원을 기준으로 보면 차입금이 4조원을 넘어서는 셈이다. 이 경우 이자부담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이는 곧 매각 후 대우건설의 재무구조 악화ㆍ부실 매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대우건설 노조는 이날 성명서를 내고 "현재 대우건설이 안고 있는 부채는 3조1,757억원으로 인수업체 차입금 4조~5조원을 추가하면 총 부채가 8조원대에 달한다"며 "이자율을 5%로 잡아도 매년 4,000억원을 갚아야 하고, 금리가 7%면 5,600억원을 지급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우건설 본입찰에 참여한 업체들은 대부분 재무적 투자자에게 연 9~10% 대의 높은 이율로 차입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 이 같은 높은 매각 대금은 대우건설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증권사 관계자는 "인수자가 고금리의 차입금을 단기에 해결하기 위해선 경영권 확보에 필요한 '50%+1'주를 제외한 나머지 지분을 주식시장에 단기간에 내다 팔 가능성이 높다"며 "물량이 한꺼번에 쏟아질 경우 대우건설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대우건설의 재매각 가능성도 제기된다. 재무적 투자자와 외부 차입금이 많아져 대우건설 경영이 어려워질 경우 인수주체가 다시 매물로 내놓을 수 있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캠코가 계약종결일 이후 매수한 주식의 '50%+1주'는 2년 동안 팔지 못하도록 했지만 '먹튀' 방지책으론 미흡하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대우건설이 부실기업으로 전락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자기자본과 전략적 투자자들의 참여구성 비율, 재무적 투자자와의 계약행태 등이 우선협상대상자 선정기준에 확실히 반영돼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김 혁기자 hyukk@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