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지식인 움베르토 에코는 “과연 월드컵이 벌어지는 일요일에 무장투쟁이 가능한가? 축구 경기가 있는 일요일에 혁명이 가능한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해 서남대 김욱 교수는 “축구 경기가 없는 일요일에는 언제나 혁명이 가능한가”도 물어야 한다고 반론을 폈다. “과연 누가 ‘무장투쟁’이나 ‘혁명’을 원하는가?”라는 질문도 추가로 던질 필요가 있겠다.
● 월드컵 과잉과 시청률 지상주의
최근 들어 아주 재미있는 현상을 목격하게 된다. 월드컵 열풍이 강해지면서 신문에 그걸 비판하는 기사들이 실리고 있는데, 그게 영 어색하다. 주로 방송의 월드컵 과잉을 비판하는 내용인데, 그 기사가 실린 지면을 넘기면 몇 개 지면이 월드컵 일색이다. 그렇게 괜한 시늉 내지 말고 이 문제에 정면 대응해보면 안될까?
월드컵 열풍에 대한 비판은 거의 대부분 사회적 ‘기회비용’을 걱정하는 것이다. 좀더 정확히 말하자면, 관심의 기회비용이다. 월드컵 열풍에 파묻혀 매우 중요한 사회적 사건들이 제대로 알려지지도 못한 채 잊혀지고 있다는 것이다.
백번 옳은 지적이다. 그런데 새삼 드는 생각은 “언젠 안 그랬나?” 하는 의문이다. 월드컵 과잉이 워낙 지나치기 때문에 특별히 문제삼을 필요가 있다는 반론이 가능하겠다. 그러나 “월드컵 과잉은 4년에 한달이지만 나머지 3년 11개월이 더 문제가 아닌가?”라는 재반론도 가능하다.
방송사 측에선 월드컵 과잉은 ‘다수결주의’ 또는 ‘시장 논리’라는 주장을 내심 할 법도 하다. 월드컵 과잉을 비판하는 쪽은 소수이고 시청률은 그런 편성이 옳았다는 걸 입증해주니 말이다. 방송사들이 시청률이 낮게 나오는데도 그렇게 월드컵에 미쳐 돌아갈 리는 없잖은가. 그렇다면 우리가 정작 논의해야 할 것은 ‘시청률 지상주의’일 게다.
시민단체들은 특별히 공영방송인 MBC와 KBS를 문제삼고 있다. 공영방송만큼은 달라야 하지 않느냐는 논리인 것 같다. 그런데 수천명의 구성원으로 이뤄진 조직을 MBC와 KBS라 부르면서 비판해봐야 아무도 아파하지 않는다. 사장과의 대화를 시도해보는 게 좋겠다. 대화를 거부한다면 사장을 집중 비판하면 될 일 아닌가.
MBC 최문순 사장과 KBS 정연주 사장은 이른바 ‘개혁ㆍ진보파 사장’이다. 그들은 대단히민주적인 사장이겠지만, 기본적인 편성의 원칙에 아무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으리라고 믿기는 어렵다. 지금의 월드컵 과잉은 그들의 동의ㆍ지원하에 이뤄진 정책으로 보는 게 옳다. 왜 그들은 그럴 수밖에 없는가? 이야기를 듣고 싶다. 모두 다 당당한 자세로 이야기를 해보자는 것이다. 한쪽은 비판하고 다른 한쪽은 모른 척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그들은 공영방송의 시청률이 떨어지면 일부 신문들이 ‘위기’라고 호들갑을 떨고, 그로 인해 재정이 어려워지면 ‘방만한 경영’ 운운하며 공격하는데, 어느 장단에 춤을 춰야 하느냐고 항변할 지도 모르겠다. 그밖에도 우리가 모르는 나름대로의 고충이 있을 것이다. 그런 이야기를 들어보자.
● 공영방송 근본 문제 짚어봐야
공영방송 이대로 좋은가? 월드컵 핑계 대고 아예 이 문제까지 건드려보자. 누가 사장이 되건 전혀 바뀔 수 없는 방송사 특유의 ‘게임의 법칙’이라는 게 있다면, 그것도 이번 기회에 알아두는 게 우리 모두를 위해 도움이 될 게다. 공영방송이 공영방송다울 수 없는 이유가 있다면 그런 근본 문제부터 해결해야 할 게 아닌가.
아니면 한달 정도의 월드컵 과잉도 인내하지 못하는 소수파의 옹졸함에 관용을 구해보자는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그 어느 쪽이건 얘기 좀 하고 살자. 이런 얘기를 하지 않고 넘어가면 훗날 누군가가 공영방송의 민영화를 추진해도 할 말 없게 된다. 그때 가서 후회하지 말고.
강준만 전북대 신방과 교수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