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을 들여다보고 있자니 마비란 여자가 생각난다. 일본 사람인데 우리말을 아주 잘했다. 살짝 전라도 억양이 섞인 교양 있는 말씨였다. 언뜻, 전라도 지방의 한 도시에서 태어나 고등학교를 마칠 때까지 거기 살다가, 대학에 진학하며 상경한 지 십여 년 된 전문직 여성을 그녀는 연상시켰다. 외국인이 우리말을, 그것도 사투리가 밴 우리말을 잘 하는 건 참 신기하다.
아무리 봐도 질리지 않는다. 그런데 나는 마비를 딱 한 번, 세 시간쯤밖에 못 봤다. 한 친구가 우리문학을 전공한 영국인 아가씨를 초대한 자리에서였는데, 그녀가 다음날 귀국할 마비를 데려왔다. 마비는 도자기에 관계된 일을 하는 것 같았다. 그녀의 부모님은 둘 다 프랑스 마니아라고 했다. 딸 이름을 ‘나의 삶’이란 뜻의 프랑스어 ‘마비’라고 지을 정도로.
마비는 몇 년 전 남원 광한루에서 만난 사람과 결혼했다고 했다. 그 총각도 혼자 여행 온 일본 사람이었다. 일본인 청춘남녀가 광한루에서 마주친 인연으로 맺어진 것이다. 춘향아씨와 이도령도 광한루에서 처음 눈이 맞았다지? 오늘 같은 단옷날에 말이다. 남원하고도 광한루는 사랑의 공간인가 보다. 무릇 풋정을 무르익게 하나보다.
시인 황인숙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