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만에 남동생 형철(엄태웅)이 집에 돌아온다. 그러나 재회의 기쁨도 잠시. 동생이 데리고 온, 이모 뻘은 됨직한 여자 무신(고두심)을 보고 누나 미라(문소리)의 눈은 휘둥그레진다. 담배를 입에 물고 살며 ‘2차’라는 말을 거리낌 없이 내뱉는 올케와 예비 매형에게도 달려드는 사고뭉치 남동생, 그리고 새침한 누나의 괴이한 동거는 이렇게 시작한다.
지극히 정상적인 제목과 달리 ‘아주 비정상적인’ 가족들의 이야기로 문을 여는 ‘가족의 탄생’은 세 개의 에피소드가 각기 다른 이야기 구조를 가지면서 하나로 수렴되는 형식을 띈다. 세 사람이 한 지붕 아래서 펼치는 진풍경 위에 파편화한 한 가족의 이야기가 하나 더 얹히고 남녀의 사랑까지 겹치면서 영화는 전통적 가족의 의미를 해체하며 가족의 개념을 재정의한다.
결코 평범하지 않은 세 사람의 첫 번째 사연 뒤로 이어지는 것은 “사랑 밖에 난 몰라”라며 살아가는 매자(김혜옥)와 이런 엄마를 증오하는 딸 선경(공효진), 그리고 ‘씨’ 다른 늦둥이 동생 경석(봉태규)의 이야기다. 청년으로 성장한 경석이 어느 남자에게나 잘해주는 ‘헤픈’ 애인 희연(정유미)과 벌이는 사랑이 세 번째 에피소드다.
세 이야기를 관통하는 것은 가부장적 가족 질서와 전통적인 남성성에 대한 부정이다.
아버지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그 자리를 대신해야 할 남자들은 무기력하고 무책임하다. 한 집안의 가장이어야 할 형철은 “내가 다 책임지겠다”고 떵떵거리지만 지독한 무능력자에 불과하다. 매자의 정부(情夫)도 사랑 운운하지만 병든 연인을 돌봐주기 보다는 원래의 가족 품으로 비겁하게 숨어버린다.
허울 좋은 남성성 대신 ‘가족의 탄생’이 주목하는 것은 여성성이다. 흩어진 가족과 주변의 불우한 사람을 가족처럼 끌어 안고 살아가는 것은 여성뿐이라고 영화는 말한다. 나아가 어차피 남남이었던 남녀가 만나 탄생하는 게 가족인데 인연으로 이어진 사람들끼리 모여 살면 그게 또한 가족 아니냐는 대안 가족론까지 펼친다. 기존의 사회관념을 창조적으로 파괴하지만 ‘가족의 탄생’은 가족이라는 단어가 지닌 살뜰한 감정의 교환과 정서까지 거부하지는 않는다.
데뷔작 ‘여고괴담2’(1999)로 호평을 받은 김태용 감독은 전통적인 의미의 가족 붕괴 현상을 사회병리학적으로 심각하게 그리기보다유쾌함과 발랄함을 버무려 완성도 높은 작품을 만들었다. 영화 속 행복한 ‘콩가루 집안’이 비현실적이고 스크린 밖에서는 환영 받지 못하겠지만 관객은 기괴한 판타지의 매력에 끌릴 수 밖에 없다. 18일 개봉. 15세.
라제기기자 wenders@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