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독자광장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독자광장

입력
2006.05.16 23:58
0 0

■ 지역 도서관을 아이들 독서교육 산실로

주말마다 아이들과 함께 집 인근의 도서관을 찾는다.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는 소규모 도서관이지만 세미나실, 컴퓨터실, 휴게실 등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어 가족끼리 오붓하게 주말을 보내기에는 안성맞춤이다. 이제는 유치원에 다니는 막내마저도 도서관 나들이를 하는 주말을 기다릴 정도다. 과거에 학생이나 각종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위한 공간으로만 인식됐던 도서관이 이제는 새로운 문화생활 공간으로 거듭난 것이다.

하지만 내가 찾는 지역 도서관처럼 작은 도서관에서조차 의욕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북스타트 운동’ 같은 좋은 프로그램들은 여전히 홍보가 미흡한 것 같아 안타깝다. 가령 내가 다니고 있는 지역도서관은 생후 6~12개월 된 영아를 둔 부모가 북스타트 운동 회원에 가입하면, 아기에게 읽어줄 동화책을 무료로 빌려주는 것은 물론이고 동화구연, 육아상담 등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평생 교육의 첫 단추를 끼우는 중요한 독서교육을 도서관이 앞장서 지도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 운동이 활성화된 영국, 일본, 캐나다 등 선진국에서는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학업성취나 학교생활 적응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이 실증적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우리 속담처럼, 아이들이 말과 글을 배우기 시작하는 첫 단계부터 책과 친숙해진 덕분인 것이다.

북스타트 운동의 창시자 웬디 쿨링은 “우리가 갓 태어난 아기에게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은 책을 삶의 자원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교육당국은 학생들의 낮은 독서열을 탓하기 이전에 공공도서관 시설과 운영인원을 확충해 독서가 생활 속에 자리 잡도록 지원해야 할 것이다. 또 갓 태어난 자녀를 어떻게 키울지 고민하는 부모들에게도 자녀와 함께 가까운 도서관을 찾기를 권한다.

최진규ㆍ 충남 서산시 서령고 교사

■ 자주 바뀌는 선거법… 유권자에 충분히 알려야

우리나라의 법률 중에서 자주 바뀌는 것 중의 하나가 공직선거법이다. 그런 까닭에 최근에도 선거권 제한 규정을 비롯해 많은 조항이 개정됐지만 유권자들 대다수가 알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얼마 전 한 정당의 게시판에 후보등록기간 이전에 한 예비후보자의 부인이 남편의 약력이 적힌 명함을 돌린 것을 불법선거운동이라고 비난하는 글이 올라왔다. 하지만 이는 선거법에서 허용하고 있는 선거운동이며, 오히려 그 글을 올린 네티즌이 선거법을 위반한 경우였다.

이 같은 해프닝이 일어난 데는 선거법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비난글을 작성한 네티즌의 책임도 있지만, 그보다는 선거운동 가이드라인에 대해 충분한 홍보를 하지 못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비롯한 정부의 책임이 더 크다. 일반 유권자가 세세한 공직선거법의 규정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더라도, 최소한 민감한 부분인 불법선거운동 여부 판별에 관한 내용 정도는 유권자들에게도 충분히 홍보가 됐어야 한다.

행정자치부에서는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복권제도를 도입하겠다는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고 있다. 하지만 투표율 제고 이전에, 선거의 혼탁을 막기 위해서는 시민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의 제시가 선행돼야 한다. 선거에 대한 이해가 높아져야 유권자들의 참여도 높아질 것이 아닌가.

lawtemplar

■ 평택사태 여론몰이 유감

최근 미군 기지 이전 문제를 둘러싸고 시위대와 군경이 격렬하게 충돌한 평택 대추리 사건을 보면 한국의 민주주의는 아직도 갈 길이 멀다는 생각이 든다. 대부분의 언론은 시위를 막다 부상당한 군경과 그 가족 인터뷰를 연일 내보냈고, 그 와중에 뉴스는 미군기지 이전이라는 사태의 초점을 벗어나 시위대를 범죄집단인양 여론을 몰아갔다.

또 보수언론들은 시위를 이끈 주체가 현지에 남아있는 소수의 주민이 아니라 외부 단체인 범대위이며 그 목표도 주한미군 철수라고 규정해, 적법한 절차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평택 기지 이전을 반대하는 시위대의 저항을 민주적 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로까지 묘사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문제의 충돌이 일어나기 전날까지도 방송에 출연한 군 당국자는 시위대의 퇴거를 강제집행하지 않겠다고 했다. 하지만 정작 매스컴을 통해 시위대의 쇠몽둥이가 문제가 되고 폭력사태에 대한 여론이 정부에게 유리하게 돌아가자 총리가 나서서 시위대가 원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했다. 선거를 앞두고 평택 사태가 묻혀질 만큼 많은 뉴스가 쏟아지는 상황과 자신들에게 유리한 여론에 편승해 힘으로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미군 부대 이전이 그렇게 서둘러야 했던 사안인가. 민주적인 정부라면 물리력을 동원하는 대신 시간이 걸리더라도 협상과 열린 토론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것 아닌가.

gumcgk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