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재미의 발견

새로워진 한국일보로그인/회원가입

  • 관심과 취향에 맞게 내맘대로 메인 뉴스 설정
  • 구독한 콘텐츠는 마이페이지에서 한번에 모아보기
  • 속보, 단독은 물론 관심기사와 활동내역까지 알림
자세히보기
2억여명 통화 기록 美무차별수집 파문
알림
알림
  • 알림이 없습니다

2억여명 통화 기록 美무차별수집 파문

입력
2006.05.13 00:08
0 0

미국 국가안보국(NSA)이 9ㆍ11 테러 직후부터 통신회사들의 협조로 비밀리에 미국민 2억명 이상의 전화통화 기록을 무차별적으로 수집해 왔다는 폭로가 나왔다. 그 동안 영장 없는 비밀도청 등 개인 정보 수집 활동을 벌여 언론의 비난을 받아 온 조지 W 부시 미 행정부는 또 다시 위기에 빠졌다.

11일 USA 투데이에 따르면 NSA는 2001년부터 광범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AT&T, 버라이즌, 벨사우스 등 3대 통신회사로부터 미국민 2억2,400만명의 유ㆍ무선 통화기록을 제출 받아 분석해 왔다. 이 기록은 통화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으나 전화번호, 발신 또는 수신 여부, 통화 날짜 및 시간 등을 망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NSA의 미 국민 통화기록 수집은 마이클 헤이든 중앙정보국(CIA) 신임 국장 지명자가 NSA 국장으로 재직하던 시절(1999~2005년)에 이뤄진 것이어서 그에 대한 상원 인준청문회가 이를 둘러싼 논란으로 격랑에 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NSA는 수집한 통화기록을 바탕으로 최신 데이터 발굴 기법인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시도한 것으로 전해진다. 이 분석법은 통화기록 속에서 서로 관계가 없을 것 같은 사람들의 비밀스런 접촉을 찾아내 인간관계에 대한 새로운 정보와 통찰을 얻는 것으로, 민간 기업과 정보기관들이 활용해 왔다.

부시 대통령은 "무고한 수백만 국민들의 일상 생활을 들추지 않았다"며 "프라이버시는 철저하게 보호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 하원의원 52명은 연명으로 이번 사안 조사를 위한 특별검사 임명을 부시 대통령에게 촉구하고 나섰다. 부시 대통령의 영장 없는 비밀도청 승인을 강하게 비판해온 알렌 스펙터(공화) 상원 법사위원장은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통신회사에 자료 제공을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워싱턴=고태성 특파원 tsg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Copyright ⓒ Hankookilbo 신문 구독신청

LIVE ISSUE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

0 / 250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