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교육부총리,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 교수ㆍ교사ㆍ학부모 단체 대표 등 70여명이 3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 모여 교육분야 투명사회협약을 체결했다. 투명사회협약실천협의회 주도로 각 분야에서 이뤄져 온 협약체결이 교육 부문까지 확산된 것은 의미 있는 일이었다.
하지만 이런 자리라면 당연히 있어야 할 것 같은 전국교직원노조 장혜옥 위원장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당초 참여를 약속했던 전교조는 행사 전날인 2일 주최 측에 공문 한 장을 보내 불참 의사를 밝혔다. “사립학교법 개악 등 교육 문제들이 정치적 거래에 의해 왜곡되는 현재 상황을 직시하면서 이에 불참하기로 최종 결정했다”는 게 내용의 전부였다.
불만을 표현하고 자기 의사를 관철하는 방법은 그것이 합법적이라면 그다지 문제될 것이 없다. 폭력적 수단이 예사롭지 않게 의사 표시의 수단으로 동원되는 오늘날에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전교조가 사립학교법 문제에 대한 항의의 표시로 협약에 참가하지 않은 것은 그냥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전교조는 중요한 것을 놓쳤다. 이 자리 참석자 중에 산적한 교육 현안에 대해 불만이 없는 사람이 누가 있겠는가. 사립학교법 문제가 아니더라도 각 단체와 기관마다 이해가 갈리는 현안은 매우 많다.
그럼에도 각 단체와 기관의 대표들은 ‘부패ㆍ부조리를 추방하자’는 깃발 아래 하나가 됐다. 이것이 서로의 입장차이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번 협약과 사립학교법 문제는 그다지 큰 관련이 없어 사립학교법을 구실로 협약을 거부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다.
그 동안 ‘촌지안받기운동’을 해 오고, 일선 지부에서 ‘교육쇄신 공동점검단 운영’과 ‘부패방지기구 구성’을 촉구했던 곳은 바로 전교조가 아닌가.
박원기 사회부 기자 on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