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지각변동이 예고되고 있다.
5ㆍ31 지방선거까지 남은 30일은 정계의 대변화로 가는 길목이다. 여야간 승패는 필연적으로 세력간 이합집산과 여야 내부의 역학구도 변화를 부를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여권이 여전히 집착하고 있는 개헌 논의까지 표면화한다면 지방선거 후 정치권은 격변에 빠져들 수 있다.
이는 이번 선거가 17대 대선을 1년여 앞두고 치러진다는 데서 비롯된다. 선거를 통해 확인된 민심을 토대로 대선전략을 다시 짜거나, 다른 선택을 하지 않으면 대선에서 이길 수 없다는 각 정당 및 의원들의 절박감과 몸부림이 변화를 부르는 것이다.
변화의 진앙지는 열린우리당이 될 가능성이 높다. 16개 시도 중 대전과 전북을 뺀 대부분 지역에서 우리당이 밀리고 있는 여론조사 수치를 볼 때 그렇다.
우리당이 이대로 주저 앉는다면 당장 정동영 의장이 선거패배 책임론에 휩싸여 당내 대선 경쟁구도에 변화가 일 수 있다. 아울러 광주ㆍ전남의 패배는 차기 총선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 의원들의 탈당을 촉발하고, 수도권 패배는 정국운영 및 대선 전략을 둘러싼 계파간 대립을 불러 종국에는 당이 분해될 것이라는 극단적 관측도 있다. 이 경우 고건 전 총리가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
반대로 한나라당이 기대만큼 성적을 못 거두면 박근혜 대표의 입지가 도전을 받고, 7월 전당대회에서 대리인을 내세워 대표직을 거머쥐려는 박 대표와 이명박 서울시장의 쟁투가 한층 격화할 것이다.
따라서 여야 지도부는 30일간 정치적 사활을 건 총력전을 펼 수밖에 없다. 우리당은 한나라당이 대다수 지방자치단체장을 차지하고 있음을 겨냥한 ‘지방권력 심판론’으로, 한나라당은 ‘참여정부 심판론’으로 민심을 파고 들고 있다.
광역단체장 16명, 기초단체장 230명, 광역의원 733명, 기초의원 2,888명을 뽑는 이번 선거는 16일 후보등록과 함께 15일간의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된다.
유성식 기자 ssyo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