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 탈당, 주먹다짐….
여야의 5ㆍ31 지방선거 공천 후유증이 점입가경이다. 공천 및 경선 탈락자들이 결과에 불복해 집단 탈당하거나 소송을 거는가 하면 경선 현장에선 폭력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한나라당 충남지사 경선에 출마했다가 35표 차로 이완구 후보에 분루를 삼킨 박태권 전 충남지사는 최근 법원에 공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박 전 지사는 “선거인단 명부가 사전 유출됐고 이 후보가 악의적 내용의 휴대폰 문자메시지로 나를 음해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열린우리당 전북지사 경선에서 탈락한 유성엽 전 정읍시장도 경선전이 한창이던 20일 김완주 후보가 재산을 축소 신고한 의혹이 있다며 경선 후보 자격 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냈다. 유씨는 “김 후보가 서울 반포동 주공 아파트의 가격이 올랐는데도 구입 당시 가격으로 후보 등록을 하는 등 후보등록 기준을 어겼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의 텃밭인 대구ㆍ경북에서는 기초 단체장 후보경선 탈락자들이 탈당이 이어지고 있다. 탈락 후보가 모집했던 책임 당원들도 동반 탈당하면서 대구ㆍ경북에서만 2,000여명의 당원들이 탈당계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부산 경남도 한나라당 공천 탈락자들의 소송과 탈당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민주당의 텃밭인 호남도 예외는 아니다. 민주당 고창군수 경선에 나섰던 후보자들이 경선 방식에 반발, 지지자 등 1,000여명과 함께 집단 탈당했다.
급기야 19일 열린우리당 경남 김해시장 경선은 주먹다짐으로 얼룩졌다. 선거인단을 대상으로 이봉수 후보 지지 유도 휴대폰 메시지가 전송된 것이 빌미가 돼 실랑이가 일었고, 이 후보가 선출되자 상대 후보측이 ‘경선무효’를 외치며 의자를 던지는 등 난투극이 벌어졌다.
이 같은 후유증은 특정지역의 경우 ‘특정당 공천=당선’으로 인식돼 본선 보다 예선에 목을 매는 데 근본 이유가 있다. 또 분권형 공천을 도입하면서 현역 의원의 공천 영향력이 커진 데 따른 부작용의 측면도 있다. 경선 탈락자들이 하나같이 “현역 의원들이 사전에 특정인을 내정해놓고 우리는 들러리 세웠다”고 반발하고 있는 게 그 방증이다. 경선 잣대가 지역별로 제 각각인 점도 한 이유로 지적된다.
이동훈 기자 dhl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