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신도시가 입주 초기부터 교통대란에 시달릴 것으로 우려된다.
판교 신도시 개발에 맞춰 정부가 마련한 ‘판교 광역교통 개선 대책’이 예산문제와 사업방식 변경 등으로 교통망 확충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건설교통부에 따르면 신분당선(강남-정자 18.5㎞) 전철 사업은 예산문제로 사업 추진이 지연돼 당초 계획보다 6개월이상 늦은 지난해 6월 착공, 개통은 판교신도시 입주가 시작되는 2008년말을 훨씬 넘긴 2010년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영덕-양재간 고속화도로도 시행 과정에서 민자사업으로 전환되면서 이름도 서울-용인 고속화도로로 변경돼 원래 예정보다 4개월 늦은 지난해 5월에야 착공에 들어갔다. 1단계 공사는 진행중이지만 2단계 공사는 아직 실시계획 승인을 얻지 못해 판교 신도시 입주전에 개통될 지 미지수다.
풍덕천네거리와 세곡동을 연결하는 23번 국지도(국가지원지방도로)를 6차선에서 8차선으로 확장하고, 확장된 2차선에 간선급행버스(BRT) 시스템을 도입하는 사업도 진척이 더디다.
경기도(풍덕천네거리-금곡IC)와 한국토지공사(금곡IC-배왕저수지), 대한주택공사(배왕저수지-세곡동)가 구간을 나눠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23번 국지도 확장 사업은 현재 주공이 맡은 배왕저수지-세곡동네거리 구간이 아직 착공도 안된 상태인 데다, 전 구간에 걸쳐 토지 보상 문제도 남아 있다.
특히 당초 건교부는 확장된 2차선에 BRT 시스템을 도입해 대중교통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확장된 차선은 사실상 버스 전용도로 정도의 수준에서 운영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판교에서 송파까지 연결되는 탄천변 도로(5.8㎞)도 이미 개통은 됐지만 성남시가 서둘러 공사를 진행하다 도로의 270㎙ 정도가 서울공항 비행안전구역을 침범했다는 이유로 폐쇄돼 무용지물이 될 위기에 처해 있다.
건교부 관계자는 “명백히 실정법을 어기면서 건설된 도로이기 때문에 달리 해결할 방법이 없다”며 “그러나 문제가 된 일부 구간은 우회도로를 건설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전태훤기자 besam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