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이해찬 총리의 사표를 수리함에 따라 후임 총리 향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누가 총리가 되느냐는 참여정부 집권 후반기의 국정 및 정국운영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되기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일단 후임에 정치인을 기용해 기존 틀을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 여권인사 중에 이 총리만한 인물만 찾는다면 앞으로도 분권형 국정운영과 함께 긴밀한 당정관계를 이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선택은 5ㆍ31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당의 코드인사 공세 등 정치적 부담이 수반된다.
노 대통령이 당내 하마평에도 불구하고, 정치인을 발탁할 확률이 낮게 점쳐지는 것은 이 때문이다. 당내에서는 김혁규 최고위원이나 임채정 전 의장, 여성인 한명숙 의원 등이 거론되나 야당이 “선거중립의지가 의심스럽다”며 국회인준을 거부하는 등 선거 쟁점화할 게 틀림없다.
반대로 노 대통령이 야당의 편파성 시비를 막는 동시에 큰 틀의 국면전환을 노려 학계, 시민단체 등에서 비정치적 인사를 전격 발탁할 수도 있다. 차제에 여야 모두로부터 자유로운 국정운영을 펼 수 있는 거국 중립내각의 단초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 경우 여성인 이경숙 숙명여대 총장과 함께 참여정부와 교육정책을 놓고 각을 세워온 정운찬 서울대 총장 등 학계 인사가 1순위 후보로 꼽힌다. 박원순 변호사 등 시민단체 출신의 이름도 나온다.
그러나 영입가능성을 차지하더라도 국정운영능력이 검증되지 않은데다 김대중 정권 당시 ‘장상, 장대환 총리 후보자 인준파문’ 때처럼 검증과정에서 악재가 돌출될 위험이 있다.
노 대통령이 인사청문회 통과를 의식해 능력이 검증된 관료출신 인사 등을 기용할 것이라는 얘기가 많은 것은 이런 사정에서다. 관료 중에선 호남 출신에다 경제분야 전문성을 갖춘 전윤철 감사원장, 한덕수 경제부총리 등을 꼽을 수 있다. 같은 호남 출신인 김승규 국정원장 등도 거론된다.
이들은 비교적 안정된 카드이지만, 정치적 승부수로 활용하기에는 부족하다는 평이다. 때문에 대안으로 한나라당을 탈당한 이원종 충북지사나 한나라당 소속인 이의근 경북지사 등의 발탁 가능성도 거론되지만, 이들 역시 새 인물에 대한 기대를 채우지는 못한다는 지적이다.
이동국 기자 east@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