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獨 풍력·日 태양광 분야 선두
"브라질은 대체에너지 개발의 에덴동산입니다."
최근 모스크바에서 열린 G8(G7+러시아) 재무장관회의 석상. 옵저버 자격으로 참석한 안토니오 팔로시 브라질 재무장관은 자국에서 팔리는 자동차의 70%가 에탄올과 가솔린을 함께 쓰는 '연료 겸용' 차량이라며 이같이 말해 눈길을 끌었다.
이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에탄올 등 대체에너지 개발을 통해 2025년까지 중동산 석유수입을 현재의 75%까지 감축하겠다고 선언한 것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사실 세계 최대의 사탕수수 생산국인 브라질은 알코올의 일종인 에탄올 상용화의 선두주자다. 사탕수수와 옥수수 등에서 추출되는 에탄올은 가솔린과 배합하면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청정연료로 변신한다.
1차 오일쇼크(1973년) 당시 석유의 80%를 수입하던 브라질은 75년부터 모든 가솔린에 에탄올 10%를 섞어 사용토록 했고 점차 그 비율을 높여갔다. 현재 브라질 자동차 연료시장에서 에탄올이 차지하는 비중은 20%. 대다수의 국가에서 1%에도 못미치고, 미국도 3%인 점을 감안하면 대단한 규모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대체에너지 분야에서 가장 앞서가는 곳은 환경운동과 반(反)원전 물결이 거센 유럽연합(EU)이다. 그 중에서도 주목받는 국가는 독일이다. 세계 제1의 풍력발전국은 풍차의 나라 네덜란드가 아니라 독일이다. 독일은 전세계 풍력 발전설비의 3분의 1(1만4,500MWㆍ2003년 기준)을 보유하고 있다.
대체에너지의 40%를 풍력이 맡고 있을 정도다. 석유와 가스를 대부분 수입하는 독일은 85년부터 각종 세제 혜택과 지원책을 폈다. 가령 풍력 사업자들이 생산하는 전기단가가 화석연료에 비해 2~3배 비싸지만 이를 의무적으로 매입해주는 제도를 만들었다.
또 설비 투자금액의 25%까지 지원해 준다. 500kW이하의 소형은 90%까지, 500kW이상은 최대 65%까지 보조금을 지급한다. 이 같은 제도 덕분에 독일은 태양광 발전도 일본에 이어 세계 2위를 달리고 있다.
독일 정부는 대체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비율을 2010년까지 현재의 두배 수준인 12.5%로 끌어올린다는 야심찬 계획을 수립했다. 또 현재 전력 생산의 4분의 1 이상을 떠맡고 있는 원전은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모두 폐쇄키로 했다. 하지만 독일 일각에선 최근 대체에너지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원전 폐쇄 반대 여론’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 태양광 발전에서 선두를 질주중이다. 전체 에너지공급에서 대체에너지의 비중이 3.6%(2003년 기준)에 불과하지만, 연간 860MW를 태양광 발전으로 얻고있어 2위 독일(410MW)의 두 배에 달한다.
특히 일본은 1억원이 넘던 주택용 태양전지가격을 기술개발을 통해 현재 2,000만원 정도로 낮췄다. 또 설치비의 10%를 지원하는 정책을 앞세워 2010년까지 태양광주택 100만가구 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일본은 2010년까지 대체에너지 비율을 7%까지 높일 방침이다.
에너지관리공단 국제협력센터 황인철팀장은 “태양광의 세계시장 규모가 2003년 80억 달러에서 2010년에는 300억 달러로 대폭 증가할 전망"이라며 "일본 설비업체들의 시장 지배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 정부도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큰 연료 전지, 태양광, 풍력을 차세대에너지 3대 핵심사업으로 선정해 2004년부터 본격 지원에 나서고 있다. 대체에너지는 단순히 고유가나 온실가스 규제문제를 넘어 미래시장의 블루오션을 선점하는 성격도 강하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의 대체에너지 공급비율은 전체 에너지의 2.2%(2005년 기준)로 EU평균(6.2%)의 3분의 1에 그치고 있다. 기술개발도 선진국의 50~70%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정부는 2011년까지 에너지 수요의 5%를 대체에너지로 충당한다는 방침 아래 한국전력거래소 등에 신재생에너지팀을 구성, 가정용 연료전지 사업, 태양광주택 3,600가구 보급사업을 펴고 있다.
올해 예산도 지난해(3,242억원)에 비해 26.3%가 늘어난 4,095억원을 책정했다. 원자력 등 기존 에너지원을 대체하는 차원보다는 '보완'하는 의미가 크다.
산업자원부 신재생에너지과의 김영삼 과장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수치이지만 2011년까지 당초 목표인 5%를 달성하려 해도 무려 9조원의 막대한 돈이 소요된다”며 “재원마련이 여의치 않은 실정”이라고 말했다.
박진용 기자 hub@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