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고소득층은 ‘교육비’, 저소득층은 ‘주거비’ 부담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저소득층이 고소득층 보다 체감 물가에 대해 더 큰 영향을 받아 그간 식품, 보건ㆍ의료 등 생활 필수품의 가격 인상이 계층간 양극화를 더욱 부추긴 것으로 분석됐다.
23일 LG경제연구원이 통계청의 가계조사를 토대로 2000년부터 지난해 4분기까지 소득계층별 소비품목 지출 비중을 조사ㆍ분석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소득 상위 20% 계층의 항목별 지출 비중은 교육비(13.3%)가 가장 컸고, 이어 교통(12.9%) 식료품(12.9%) 외식(12.1%) 주거(10.6%) 피복ㆍ신발(6.5%) 교양ㆍ오락(6.4%)의 순이었다.
반면 소득 하위 20% 계층은 전체 소비의 19.7%가 주거비(전ㆍ월세, 주택설비ㆍ수선비 등 포함)에 집중됐다. 이어 식료품(17.8%) 외식(11.6%) 교통(8.9%) 교육(8.3%) 통신(7.1%) 광열ㆍ수도(6.6%) 보건ㆍ의료(4.8%) 등이었다.
연구원은 이 같은 계층별 소비 구조 차이와 품목별 물가 상승률을 감안할 때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물가 상승률이 고소득층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했다.
2001~2005년 품목별 연평균 물가 상승률은 교육(5.1%) 광열ㆍ수도(4.9%) 식료품(4.2%) 보건ㆍ의료(3.5%), 주거비(3.0%) 등의 순이었다. ‘교육’을 제외한 나머지 품목들이 모두 저소득층의 소비에서 큰 비중이 높은 품목들이다.
한편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계층별 소비 구조도 크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식료품 항목은 외환위기 전인 1990~1997년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의 지출에서 공통적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2000~2005년에는 저소득층과 고소득층에서 순위가 각각 2, 3위로 밀렸다.
대신 교육비 비중은 고소득층의 경우 4위에서 외환위기 이후 1위로 올랐지만, 저소득층에서는 4위에서 5위로 한 단계 하락하는 상반된 양상을 보였다.
통신비는 저소득층에서 8계단(12위→4위), 고소득층에서 4계단(12위→8위)씩 나란히 크게 상승했다.
송태정 연구위원은 "그간의 물가 인상에 따른 영향이 저소득층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며 “소비회복이 중산층 이하까지 확산되기 위해서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결정하는 물가가 안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영웅 기자 herosong@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