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한해도 우리 경제 안팎으로 격랑이 예상되지만, 머리를 맞대고 이를 지혜롭게 헤쳐나가야 할 정부와 기업 사이에 연초부터 난기류가 형성되는 것 같아 불안하기 짝이 없다.
경기회복 성장잠재력 확충 동반성장을 3대 축으로 한 새해 경제운용계획을 차질없이 수행하려면 정부의 노력은 물론 기업과 가계 등 민간부문의 적극적 참여와 지원이 필수다. 특히 올해 국정 화두인 ‘양극화 해소’를 위해선 경제주체들의 책임과 신뢰가 선행돼야 한다.
그러나 최근 재계나 정부의 언행을 보면 오해와 불신, 소통부재의 벽이 의외로 높은 것 같아 심히 우려된다. 전경련이 신년하례 성격의 첫 회장단회의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원칙을 훼손하는 일련의 사회적 움직임에 적극 대처하겠다”고 목청을 높인 것은 대표적 예다.
너무 앞서가는 국가인권위의 권고안에 쐐기를 박기 위한 것이라고 하나 경총과 대한상의까지 나서 체제수호 차원의 강경한 발언을 쏟아낸 것은 예사롭지 않다. 재계는 노무현 대통령이 경제계 신년회에서 “우는 소리도 하겠고 도와달라고 부탁하는 일도 많을 것”이라고 한 것에 대해서도 선을 그었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소득과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것이 아니라, 분배를 우선하는 정책을 펴겠다는 뜻이라면 방향이 틀렸다”는 것이다.
이 같은 재계 입장엔 이념적 공세도 녹아 있지만 그 자체로 나무랄 일은 아니다. 균형개발이나 동반성장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전선에서 싸우는 기업의 절대 과제는 생존이고 이는 기업환경과 직결돼 있기 때문이다.
사실 삼성전자 등 한국의 간판기업이 지난 해 고유가 환율불안 경쟁심화 등 어려운 여건에서도 선전했다고 하지만 수익성은 크게 떨어졌고 올해 역시 고된 시절을 맞을 전망이다.
이런 만큼 정부는 기업의 어려움을 먼저 이해하고, 그 공감대 위에서 지원을 이끌어내는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 그 첫 수순은 경제부총리부터 똑바로 서서 재계의 신망을 얻는 것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