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제2차 국가인적자원개발 기본계획’의 일환으로 현재 3학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초등학교 영어교과수업을 2008년부터는 1학년으로까지 전면 확대한다고 밝혔다.
외국어 조기교육의 적정연령과 교육효과 등에 대해 여전히 논란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국가경쟁력 제고 차원의 조기영어교육은 이미 세계적 추세인 데다, 우리도 일부 대도시를 중심으로 유치원 영어교육까지 일반화해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수업확대 자체를 문제삼을 일은 아니다.
실제로 초등학교 영어수업을 받은 대학생들이 한 두 해 이전 학생들보다 평균적인 영어실력이 우수하다는 실증적 연구결과도 있다. 더욱이 학교영어교육은 사교육에서 불이익을 당하는 도시 빈민층과 농어촌 어린이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준다는 점에서도 이번 조치는 타당성을 갖는다.
다만 대개의 의욕적인 정책들이 그렇듯 사전에 충분한 준비가 선행되지 않으면 차라리 안 함만 못한 부작용만 양산하게 된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학부모들이 이번 조치를 반기면서도 한편으로 불안감을 떨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학교영어교육이 신뢰를 얻지 못할 경우 사교육 열기를 도리어 부채질해 영어사교육 시장의 연령대를 더욱 아래로 끌어내리지 않게 될까 우려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현행 초등학교 영어교육은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질과 양 모든 측면에서 미흡한 교사들, 6학년에서도 “How much is this?” 따위를 반복해야 하는 낮은 교재 수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만큼 적은 수업시간, 기본회화에만 치중한 내용의 불균형성 등이 그것들이다.
시행에만 급급해 이런 문제들의 대책을 마련하는 데 소홀할 경우 이번 조치는 자칫 사교육 시장을 더욱 팽창시키는 부작용만 초래할 수 있다. 그것은 학부모와 어린 학생들 모두에게 감당키 힘든 재앙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