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 서울대 교수가 12일 줄기세포 바꿔치기 주장을 거듭하고 나서 서울대 조사위원회 발표에도 불구하고 진실공방이 계속되고 있다. 따라서 검찰이 진실을 밝히기 위해선 생명공학이란 생소한 분야에서 과학자들과 치열한 두뇌싸움을 벌여야 한다.
현재 논문조작 논란은 황 교수와 미즈메디 연구팀이 진실게임을 벌이는 형국으로 좁혀진 상태다. 한때 국내 1호 최고과학자의 신분에서 ‘사기꾼’으로 전락할 위기에 놓인 황 교수는 검찰 조사에 명운을 걸고 임할 것이 분명해 보인다.
미즈메디 연구팀에 의한 바꿔치기 가능성을 최대한 제기하면 검찰 수사를 재기의 발판으로 삼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검찰 역시 비장한 태도다. 사건 자체가 국민적 이목이 집중돼 있는 데다 이번 사건을 검찰의 과학수사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부담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우선 수사팀 구성부터 고심의 흔적이 묻어난다. 컴퓨터 전문가와 이공계 출신의 검사는 물론이고 혈액유통비리 사건 등 과학분야 수사 경험이 조금이라도 있는 검사들은 모조리 차출했다.
수사팀장을 맡은 홍만표(사진)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장은 1996년 태아 성 감별을 해준 의사를 처음으로 구속한 인연이 있다. 검찰 관계자는 “이번 사건은 과학적 지식으로 무장한 조사 대상자들의 상반된 주장들 속에서 실체적 진실을 밝혀내야 하는 만큼 결코 쉬운 싸움이 아니다”고 말했다.
검찰의 수사전략도 관심이다. 우선은 양측 주장의 논리적 허점을 찾아내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경우 자칫 과학자들의 거짓말에 휘둘릴 가능성이 크다.
검찰이 수사 초기에는 서울대 조사위 결과를 충분히 검토할 것이라는 방침을 뒤집고 12일 전격 압수수색을 단행한 것은 관련자 진술에만 의존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검찰은 핵심 열쇠를 쥔 김선종 연구원 등이 미국에서 대부분의 의사소통을 이메일로 했다는 점에서 19개 포털사이트의 이메일 계정도 압수했다.
검찰이 황 교수의 주장을 일일이 검증하기보다 연구비 유용 등의 비리를 먼저 밝혀낸 뒤 황 교수를 압박하는 우회전략을 택할 수도 있다. 검찰 관계자는 “압수물 분석이 끝나는 대로 주요 관련자들의 자금관계도 들여다볼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김영화 기자 yaah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