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에 따른 노후대비 저축 증가와 국민연금 도입으로 실질소비가 6.5%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이 6일 내놓은 ‘국민연금과 인구고령화가 민간소비ㆍ저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1988년 국민연금의 도입으로 2000~2004년 실질소비는 80~89년에 비해 5.1% 줄어들었다. 또 인구 고령화로 미래를 대비한 저축이 늘어난 데 따른 소비감소 효과는 1.4%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 도입과 노후대비 저축 증대가 겹치면서 2000년대 소비지출 수준은 80년대에 비해 6.5% 감소했다. 연령대별로는 20~45세 청ㆍ장년층의 소비가 8.0%나 감소했고 46세 이상은 3.7% 줄어들었다.
국민연금의 영향만 따로 떼서 보면 2004년 현재 20~25세 연령층의 경우 45세까지 소비가 줄었다가 이후엔 오히려 더 늘어나는 것으로 예측됐다. 45세 이전까지는 연금보험료 부담으로 가처분소득이 줄고 고용불안에 대비해 저축을 일정수준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46세가 넘으면 근로소득이 최고치에 이르고 국민연금 수급에 대한 기대가 커져 저축을 줄이고 소비를 늘리는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화에 따른 노후대비 저축 효과의 경우 30세 이전에는 소득이 늘면 소비를 확대하지만, 30세를 넘어가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후를 위해 저축을 늘려야 하지만 소득이 크게 늘지 않거나 오히려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 은퇴 후에는 소득이 크게 감소하는 현상까지 벌어져 은퇴 전 소비감소 현상이 60대 후반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국민연금과 고령화가 모든 연령에 걸쳐 소비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국민연금이 도입된 지 얼마 되지 않은 탓에 연금 혜택자보다 보험료 납입 부담만 커지는 인구비중이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병률기자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