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연령이 급속히 고령화해 2010년에는 40대에 진입할 전망이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분석, 발표한 ‘기업 근로자 고령화 현황과 정책과제’에 따르면 1980년 28.8세였던 근로자 평균연령은 2004년 37.5세로 높아졌고, 2010년에는 처음으로 40세를 넘어 40.2세, 2020년에는 43.9세를 각각 기록할 것으로 추정됐다.
연령별 근로자 비중을 보면 1980년에는 20대 이하가 60.6%로 다수를 차지했지만 2004년에는 27.5%로 크게 줄어든 반면 40대 이상은 같은 기간 15.8%에서 39.5%로 급증했다. 핵심 근로계층이 20대 이하에서 40대 이상으로 바뀐 것이다.
경총은 근로자 고령화의 원인으로 ▦노동시장 유연성 부족 ▦경력직 위주 채용관행 확산 ▦고학력화에 따른 노동시장 진입 지연 ▦노조영향에 따른 대기업 고용안정성증가 등을 꼽았다. 경총은 “근로자 고령화 현상이 생산성 저하 및 기업부담 가중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임금피크제 도입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근로자 고령화 현상은 직종별로는 생산직, 규모별로는 대기업에서 더욱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1980년 생산직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27.1세로 사무직(28.8세), 판매ㆍ서비스직(35.7세)보다 젊었지만 2004년에는 41세로 80년에 비해 13.9세나 올라갔을 뿐 아니라 사무직(32.8세), 판매ㆍ서비스직(36.1세)보다 절대연령 자체가 높아졌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300인 미만)은 1980년 29.8세에서 37.8세로 8세 많아졌지만 대기업은 같은 기간 27.5세에서 36.5세로 9세가 높아져 절대적인 나이는 어리지만 고령화 진행속도는 빨랐다.
이 같은 고령화 진행속도는 일본보다 훨씬 빨라 1980~2003년 우리나라 근로자의 평균연령은 28.8세에서 37.1세로 28.2% 높아졌지만 일본은 같은 기간 36.8세에서 40.3세로 9.5% 올라가는데 그쳤다.
경총은 “근로자 고령화가 고령자의 생활안정 측면에서 바람직한 현상이기는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고임금 근로자 증가로 부담이 늘고 생산성이 줄어들며 청년계층의 시장 진입을 막아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황양준 기자 naigero@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