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11일 황우석 교수의 논문에 대해 재검증을 하기로 결정을 내림에 따라 이제 무엇을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가 최고의 관심사항이 됐다. 과학자의 논문에 대해 제기된 의혹을 이같은 자체 진상조사를 통해 풀고자 하는 것은 국내 과학계에선 처음 있는 일이다.
국내에는 관련 제도가 없지만 미국은 정부 차원에서 과학진실성위원회(OSI) 지침이 있다. 또 연구기관(대학)마다 과학진실성위원회를 가동하고 있어 의혹을 받는 당사자가 자신의 주장을 입증할 의무가 있으며 연구자는 조사단에 협조하도록 돼 있다.
무엇을 검증하나
검증의 대상은 연구팀이 원하는 것에 한정되는 게 아니라 그동안 제기된 모든 의혹이 해당된다. 이번에 제기된 의혹은 황 교수팀이 2005년 사이언스에 게재한 논문에 한하는 것이지, 황 교수팀의 모든 연구에 대한 것은 아니다.
재검증의 핵심은 결국 줄기세포 사진과 DNA 지문이 조작됐는지 여부를 가리는 것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환자의 체세포와 복제배아줄기세포의 DNA가 일치하는지에 대한 검사는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피츠버그 대학의 김선종 연구원 발언의 전모와, 황 교수팀과 PD수첩의 치열했던 공방의 진실 여부도 자연스레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또 피츠버그대도 진상조사에 착수한 만큼 문제가 된 줄기세포 사진이 황 교수팀의 잘못인지, 새튼 교수쪽의 잘못인지 여부도 밝혀질 것이다.
누가 어떻게 검증하나
서울대에는 아직 과학진실성위원회가 만들어져 있지 않아 학내의 관련 분야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검증위원회를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외부 전문인사가 참여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황 교수 연구팀과 직ㆍ간접적인 이해 관계가 있는 인사들은 철저히 배제될 것이며 모두 독립적인 인사들로 구성될 것이다.
이미 진상조사에 착수한 피츠버그대의 경우처럼 연구팀의 실험노트와 원래의 데이터, 황 교수팀이 피츠버그대학의 섀튼 교수나 사이언스와 주고받은 메일과 자료를 조사단이 모두 제출받아 검토하는 것이 첫 수순이 될 것이다.
DNA 검사를 위해서는 세포를 제공받아 엄정한 DNA 검사기관에 분석을 의뢰해야 한다. 연구원들을 일일이 불러 조사하는 일도 필요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팀은 조사단의 모든 요청에 협조해야 하는 것이 관례다.
DNA 검사 결과는 이르면 2∼3일, 늦어도 일주일 정도면 나온다. 영국의 복제양 '돌리' 의 재검증 선례에 비춰볼 때 심층 조사가 이뤄진다고 해도 한달 이내에는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측은 가능한 한 의혹 확산을 막기 위해 재검증에 전력투구할 것으로 보여 이르면 이번 주중에라도 검증 결과가 나올 수 있을지도 모른다.
검증 후의 문제
조사 결과에 대한 판단은 매우 엄격하다. 미국의 지침에 따르면 제기된 모든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연구자에게 책임을 지운다.
즉 DNA 검사를 해봐서 줄기세포와 체세포가 일치하지 않거나, 연구자의 결백을 입증할 자료 자체가 없을 경우 연구팀이 데이터 위ㆍ변조 의혹을 시인하는 것으로 결론 을 내리는 것이다.
데이터 위ㆍ변조가 확인된다면 논문은 취소될 가능성이 높다. 저자가 직접 취소를 요청하거나 저널이 논문을 취소할 수 있다. 만약 단순 실수로 판명이 된다면 논문은 수정하는 정도가 될 것이다.
논문 수정이나 취소와는 별개로 부정이 확인된 연구자에 대해서도 검증 결과는 과학자로서의 활동이나 국제적 명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김희원 기자 hee@hk.co.kr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