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가 황우석 교수 연구팀의 환자 맞춤형 줄기세포 연구 성과를 검증하기로 했다. 황 교수측의 요청도 있었지만, 국내외에서 끊임없이 제기된 의문과 서울대 소장파 교수를 비롯한 과학계 내부의 잇따른 검증 요구를 물리치기 어려웠다.
서울대 조사위원회는 우선 올해 사이언스지에 실린 맞춤형 줄기세포 연구논문 보충자료의 줄기세포 사진과 DNA 지문분석 결과를 조사할 계획이다. 의문이 집중된 부분이어서 이에 대한 검증만 이뤄져도 많은 논란이 해소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문제점이 드러날 경우 환자 체세포와 이를 복제한 배아 줄기세포의 DNA를 직접 대조한다. 여기서 또 문제가 나오면 아예 실험 과정을 재연해 맞춤형 줄기세포 기술 자체를 검증하는, 3단계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우리는 과학적 논란은 과학계 내부에서 정리돼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따라서 과학계 내부에서 본격적으로 제기된 의문을 서울대 조사위가 검증하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 절차이자, 소모적 논란을 막는 길이라고 보고 환영한다. 서울대 조사위가 철저한 검증으로 국내외의 논란을 잠재워야 한다는 점은 두말 할 나위가 없다.
더욱 중요한 것은 국민 모두가 주관적 편견에 기울지 말고, 참을성 있게 검증을 지켜봐야 한다는 점이다. 검증 단계별로 아무런 문제점이 드러나지 않는다면 모르지만 그게 아니라면 엄청난 파문을 부를 수 있다.
자료 정리 과정에서 조작과 과장이 있었다면 연구팀은 연구용 난자 확보 과정에서의 윤리 문제와 더불어 심각한 윤리적 과제를 안게 된다. 더욱이 맞춤형 줄기세포의 진위나 기술 자체의 문제라면 그 파장은 짐작하기조차 어렵다.
연구팀의 강한 자신감으로 보아 현재로서는 근본적 오류를 상정하긴 어렵다. 또 그 동안의 논란에서 연구팀 스스로 일부 오류를 시인하기도 했다.
따라서 검증 결과가 ‘완전 무결’이나 ‘완전 오류’로 나오긴 어렵고, 바로 그 때문에 검증 결과에 대한 사회적 수용의 폭도 탄력적일 수 있다. 그러니 지금 필요한 것은 과학 이외의 의미 부여를 위한 예단과 ‘희망’이 아니라 차분한 관찰이다.
기사 URL이 복사되었습니다.
댓글0